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 봄은 왔는데 봄이 아니라 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오피니언 댓글 0건 작성일 20-02-28 11:16

본문


아파트 화단의 나무 가지에 꽃 망울이 트는걸 보니 이제 완연한 봄이다. 지난 주에 우수 (雨水)가 지났다. 우수는 추위가 풀리고 비가 내려서 나무에 싹을 틔우고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다. 이렇듯 봄은 자연 속에서 싹이 움트고 꽃을 피우는 생명의 계절임과 동시에 사람들에게는 고난의 겨울을 이기고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그리고 전진과 성장의 행복한 희망과 꿈을 준다. 그런데 왜일까? 봄이 와도 가슴으로는 봄 같지가 않다. 마치 안톤 슈낙의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처럼 이 봄의 무엇이 우리를 이토록 우울하게 만드는 것일까





먼저, 내 조국 소식이다. 중국 우한(武漢市)에서 발병된 이른바 ‘우한 폐렴 바이러스’ 때문이다. 무슨 영문인지 굳이 ‘우한’이라는 이름은 금지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명명된 이 전염병이 갑자기 온 세계로 전파되면서 전 세계인을 패닉 상태에 빠지게 했다. 보도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호흡기 감염으로 폐렴을 일으키는 전염병이다. 작년 12월 중국에서 발생되어 확산 일로에 있다. 그러나 발병의 원천은 중국의 우한인데, 왜 우리 한국이 벼락을 맞는지 모르겠다.





24일 한국의 보건 당국에 따르면, 지난 17일까지 불과 30명에 불과했던 국내 코로나 확진자 수가 일주일 만에 30배 이상 늘어나는 등 환자 수가 대폭 증가하고 있다. 설마 했던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되며 이른바 ‘코로나 쇼크‘가 ‘코리아 포비아’로까지 둔갑을 하고 있다. 아직 이 병을 치료할 백신도 없고, 언제 이 병이 수그러들지 지금은 누구도 단정할 수 없다고 한다. 때문에 해외 각 나라에서 한국여행을 경고하는 소동이 벌어지고 있다. 미국과 대만이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상향하며 한국을 여행하려는 자국민에 대해 주의를 요구했고, 이스라엘은 한국인 여행객 입국금지를 결정하며 아예 발도 들이지 못하도록 문을 닫아 버렸다.





미 국무부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23일 일본과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지금까지 코로나19와 관련된 여행경보 2단계는 홍콩과 마카오뿐이었으나 이날 한국과 일본이 동시에 추가됐다. 대만 정부도 이날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1급 주의’에서 ‘2급 경계’로 격상했다. 따라서 방한 인바운드(외국인의 국내여행) 시장도 위축 되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19가 ‘팬데믹(전세계적 대유행)’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의 여행경보 변동은 여행심리를 크게 좌우하기 때문이다. 특히 대만과 미국은 방한 외국인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에 우려가 더욱 커진다. 이에 따른 한국 경제의 타격은 불문가지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만과 미국에서 한국을 찾은 여행객은 각각 117만 명, 96만6천명으로 전체 방한 외국인 중 중국과 일본에 이어 3, 4위를 차지했다. 중국 시장이 이미 끊기고 일본 시장도 주춤한 상황에서 미국과 대만까지 위축되면 국내 관광산업은 장기적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특히 서민생활과 밀접한 유통·여행·항공.요식업계는 직격탄을 맞는다. 감원과 조정이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이어 반도체 자동차 등 각종 수출 주력 생산공장의 가동도 중단되고 있다고 한다. 생산 차질이 빚어지면서 경기가 침체되는 양상이다. 코로나 사태가 실물경제를 강타하고 원·달러 환율은 1220원대로 뛰었다. 주식과 원화 가치를 폭락시키며 금융 불안으로 옮겨 붙고 있다. 전문가들은 1분기 성장률을 마이너스를 예상하며 연 성장률도 0%대로 추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으로 한국 경제는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다음이 젊은이들의 실업 문제다. 곧 졸업과 함께 대학을 떠나 사회 속으로 취업의 문을 찾아 나서는 젊은이들에겐 일자리가 필요하다. 일터가 없으면 봄을 가장 강렬하게 느끼고 받아들여야 할 젊은이들에게는 절망과 막막함을 줄 것이다. 봄은 누가 뭐래도 무릇 젊은이들의 계절이기에, 그들이 희망과 꿈을 실은 봄의 전령사가 되게 하여야 한다. 어디 그들뿐이랴! 혹한과 폭설 못지않은 사회의 높은 벽과 단절에 응어리진 사람들, 소외된 사람들, 고통 받는 이들의 가슴에도 진정한 봄이 오게 하려면 우선 무엇보다 우리 정치꾼들의 입에 발린 거짓말부터 멈추어야 한다. 무책임한 임기응변보다는 최우선 일자리 창출과 국민 생명을 담보하는 보건 안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2월24일 현재 18개 나라에서 입국을 배척당하고 있다. 경제발전과 문화 체육 분야에서 세계가 부러워하던 나라에서 이제는 순식간에 ‘한국 기피’ 와 ‘코리아 포비아’ 현상을 보이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급기야는 국내에서는 국회와 법원까지 멈춰서는 나라가 됐다.





서양 속담에 ‘낡은 말뚝도 봄이 돌아오면 푸른빛이 되기를 희망 한다’ 라는 말이 있다. 사람들이 마음으로 진정한 봄을 느끼게 될 때 이 땅의 봄은 완전한 자연의 봄, 참다운 봄이 될 것이다. 세월 따라 봄은 오는데, 봄이 봄 같지가 않다는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 아닌, 봄이 오니 진정 봄 같다는 춘래여진춘(春來如眞春)이 되었으면 좋겠다. **





손용상 논설위원





  •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아파트 화단의 나무 가지에 꽃 망울이 트는걸 보니 이제 완연한 봄이다. 지난 주에 우수 (雨水)가 지났다. 우수는 추위가 풀리고 비가 내려서 나무에 싹을 틔우고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절기다. 이렇듯 봄은 자연 속에서 싹이 움트고 꽃을 피우는 생명의 계절임과 동시에 …
    2020-02-28 
    새로운 ‘미-한 동맹 지지’ 결의안(H.Res.809)이 지난 달 24일 미 하원에 상정됐다. 이는 지난 해 4월 초 미-한 정상회담 시기에 맞춰 발의됐던 미-한 동맹 지지 결의안(H.Res.30)에서 그 내용 일부가 수정된 것이다. 뉴욕주가 지역구인 민주당 톰 스와…
    2020-02-21 
    “우리는 죽음의 계곡에 들어간다. 여러분은 전우를 지켜주고 그 전우는 여러분을 지켜줄 것이다. 전우가 어떤 인종이건 어떤 종교를 가졌건 잊어라. 여러분은 전우이기 때문에 전우애만 생각하면 된다. 전투에 앞서 귀관들을 무사히 데려오겠다는 약속은 해줄 수 없다. 그러나 …
    2020-02-14 
    한 조직의 지도자가 공적인 발언이나 연설을 할 때는 내용이 분명하고 듣는 사람들에게 뭔가 메시지를 주어야 한다. 그래야 혼동이 없다. 혼동이 생기는 경우는 보통 두 가지이다. 그 첫째는 본인이 사안(事案)의 본질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참모가 일러준 대로 말하는 경…
    2020-02-07 
    “이게 나라냐?” 대나무 밭이 들어가 하루 종일 소리 지르고 싶은 요즘이다. 진보의 아이콘으로 활약(?)했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마저도 이 정권에 대해서 정말 모지락스럽게 칼을 들이대고 있다. 마치 무슨 무협지나 50년대의 서부 영화를 되돌려 읽고 보는 것 같다.…
    2020-01-31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내일(1월25일)이 ‘설날’이다. 우리 사람들은 보통 태양력 새해를 맞으면 어느 정도 기분이 들뜬다. 그러다가 잠깐 그 기분이 가라앉을 만하면 또 다시 월력(月曆)의 새해, 즉 고유 명절인 ‘설날’이 기다리고 있어 다시 한 번…
    2020-01-24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지켜보았다.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 일이 혹시나 있을까 싶어 채널을 돌리지 않았다. 역시나 결과는 아무 것도 없었다. 모든 분야에서 얘기 자체가 현실의 국민 생각과는 전혀 다른 화법이었다. 참 화도 나고 황당했기에, 그 얘긴 접어두고 다…
    2020-01-17 
    “조지 워싱턴대, 조국 부부 아들 대리시험은 부정 … 자체 조사” 최근 이런 기사가 나왔다. 근간 조국(曺國) 전 법무장관이 전격 기소되면서 공소장에 12가지 죄목이 적시되었다. 가장 ‘경악’할 것은 그의 아들 조모 씨에 관한 부정 대리시험 사건이었다. 공소장에 따르…
    2020-01-10 
    “지난 해 애 쓰셨네. 삶이란 수많은 처음을 만들어가는 시작(始作)의 연속이라네. 새해에는 좀 더 ’새로운 처음’이 되시길 바라네” 연말 연시가 되자 가끔 내 블로그 글을 읽고 비아냥도 서슴지 않던, 명색 ’진보연’ 하는 한국 친구 두 녀석이 송구영신 메시지…
    2020-01-03 
    올해의 막달, 금주가 지나면 새해가 됩니다. 잘 익은 실과(實果) 한 톨도 챙기지 못하고 또 한 해를 접으며 1년이라는 상자에 담아 놓았던 마음의 일기장을 새로이 펼쳐 봅니다.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대다수가 나름대로 늘 정신 없이 달려 왔다고 합니다. 시간…
    2019-12-27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대학 교수들이 뽑은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로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선정됐다고 한다. 공명조(共命鳥)는 ‘아미타경’(阿彌陀經) 등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하나의 몸통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를 일컫는다고 한다.…
    2019-12-20 
    손용상 논설위원 요즘 모국 소식을 듣다 보면 그곳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이 정말 ‘막장’ 드라마를 보는 느낌이다. 아직도 임기가 절반이나 남은 문재인 정부에서 때 이르게 그런 낌새를 보다니 황당하기가 그지없다. 이 해의 막달에 정권의 막장도 함께 오는 게 아닐…
    2019-12-13 
    뉴턴의 운동법칙(Newton's laws of motion) 중 하나에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이는 모든 작용에 대하여 항상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반작용이 뒤따른다는 것이지요. 모든 물체가 잡아당기는 작용을 가하면 되돌아가려는 반작…
    2019-12-06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려는 미덕(?)이 없어진 것 같다. 언론 보도를 보거나 가끔 개인적으로 사람을 만나 세상 얘기를 하다 보면 왠지 ‘대화’가 없다. 상대방의 말에 대해 전혀 들어보려는 생각도 없이 논리도 안 맞는 자기주장(主張)만 앞세우는 …
    2019-11-29 
    속담(俗談)에 ‘독 속의 게’라는 말이 있다. 말인즉, 독 속에 게를 풀어놓으면 먼저 밖으로 기어 나오려고 서로 물고 늘어져 발버둥 치다가 결국 한 마리도 빠져 나오지 못하고 다 죽는다는 얘기다. 한국인의 가장 나쁜 습성을 지적한 뼈아픈 풍자였다. 영국 속담엔 ‘부자…
    2019-11-2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