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우리가 사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NEWS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3,007회 작성일 20-10-23 13:27

본문

우리는 왜 사는가? 이 물음에 대해서는 그 동안 여러 논자(論者)들이 많은 글을 남겼다. 허나 나는 또 다른 시각에서 이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보았다. 왜냐면 요즘 매일 SNS에 뜨는 내 조국에서 일어나는 전대미문의 사기극과 철가면들의 위선을 지켜봐야 하는 참담한 현실을 잠시나마 스스로 덮어버리고 싶은 심정이기 때문이다.  

 

우리 삶에는 한 서너 가지 고금의 명언(?)들이 있다. 예를 들면, 먹기 위해 사는가, 살기 위해 먹는가? /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 나는 사고(思考)한다, 고로 존재 한다 / 죽느냐, 사느냐(to be or not to be) 이것이 문제로다... 등등. 하지만 곰곰 생각해보면 참 답이 어렵고 헛갈리는 말들이다. 어찌 생각하면 고급의 말장난이라고 생각한다. 우선 데카르트의 말과 셰익스피어의 ‘햄릿 대사’를 들어보자.

 

‘나는 사고(思考)한다, 고로 존재 한다’를 따져보면, 거꾸로’ 내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고할 수 있다’도 틀리지 않는다. 내가 살아있지 않는데 누가 뭘 사고한다는 말인가? 그리고 ‘죽느냐, 사느냐(to be or not to be)’...도 그렇다. 죽으면 죽는 거고 살면 사는 거지 그게 뭐가 문제라는 것인지? 우유부단의 전형이다. 

또한 닭이 먼저냐, 계란이 먼저냐? 도 마찬가지다. 아담과 이브가 6천 년 전에 이뤄졌다는 성경 말씀을 옳다 그르다로 따지는 것과 틀리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논리를 갖다 부치는 것이 우문(愚問)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는 한 번도 시비(?)를 건 적이 없다. 

 

다만 ‘먹기 위해 사는가? 살기 위해 먹는가?’ 는 약간 관점이 다르다. 왜냐면 철학적이거나 인류. 종교적인 의문 이전에 어찌 보면 우리 실생활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언젠가 한 건강관리학자 말에 의하면 “예전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먹고 살기 위해 일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제는 거리에 나서면 먹을 거리가 지천이라 이는 먹고 살만해졌다는 방증이기에 지금은 그 ‘살기 위해 먹는다’ 는 말은 설득력이 없다”고 했다. 

 

맞는 말이다. 지금은 그보다는 개인의 건강과 내 일터의 안전을 더 중요시 한다. 그래서 요즘 소비자들은 맛은 기본이고 보기에도 좋고 먹는 장소도 안전한 ‘먹거리’를 찾는다. 

이는 생리적 욕구에서 안전적 욕구로 나아간다는 ‘매슬로의 욕구 단계설’에 의하면 당연한 결과라는 이론이다. 하지만 먹는 것에서는 아쉽게도 과유불급(過猶不及)의 시대이다. 이제는 현대인은 너무 많이 먹어서 아프다. 그래서 그 반작용도 만만치 않다. 

 

국민건강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대사증후군을 비롯해 심장병, 당뇨병, 암 등 각종 질환이 급증한 것은 이미 오래 전 일이다. 어쨌건, 요즘은 ‘살기 위해’ 보다는 ‘먹기 위해’ 사는 사람이 많아 보이는 게 사실이다. 이는 먹는 즐거움이 ‘내 안전’과 더불어 인간의 행복과 비례하기 때문일 것이다.

 

중국의 태평시대를 나타내는 ‘격양가(擊壤歌)에는 일출이작 일입이식(日出而作 日入而息 /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네), 경전이식 착정이음(耕田而食 鑿井而飮 / 밭을 갈아 먹고 우물을 파서 마시니), 함포고복 고복격양 (含哺鼓腹,鼓腹擊壤 / 내가 배부르고 즐거운데), 제력하유우아재(帝力何有于我哉 / 임금님의 힘이 나에게 무슨 소용인가)’ 라는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요(堯) 임금 때 한 농부가 풍요로움에 배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노래를 불렀다는 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즉 제왕의 가장 우선적인 도리(王道)는 맹자(孟子)의 말처럼 ‘백성들이 위로는 넉넉히 부모를 섬길 수 있고 아래로는 넉넉히 처자를 먹여 살릴 수 있으며 전쟁이 나거나 흉년이 들어도 죽음을 면할 수 있도록 해주는’것이다. 말하자면 백성들이 끼니 걱정을 하지 않도록 하고 나라를 잘 지키는 게 정치의 요체라는 것 - 결국 나라는 경제가 잘 돌아가고 안보가 튼튼해야 국민 모두가 잘 살 수 있다는 교훈이었다.

 

돌아보건대, 요즘의 대한민국은 이러한 정치의 근본 요체에 대해선 아무도 거론하는 자가 없다. 어느 누가 집권을 하든 <정치>의 그 기본 이치가 조금도 다르지 않는데도 말이다. 그저 정상잡배들의 황당한 사기극과 ‘돈적질’만 횡행하고 나랏님은 그냥 ‘모르쇠’로 일관하는, 정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희한한 나라로 전락하고 있다. 

 

원컨대 맹자의 교훈처럼 ‘무위(無爲)의 다스림’으로 대한민국에 최고의 정치가 이루어지고, 대통령이 뭘 하고 있는 지 잘 모르고 지내다가 어느 날 재래시장에서 ‘어, 저기 대통령 나오셨네!’ 하는 날이 많아지기를 바라는…그런 기다림이 지금 ‘우리가 사는 이유’가 되었으면 정말 좋겠다. *

 

손용상 논설위원 

 

*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12월도 중순에 들었다. 세상이야 뒤집히든 말든 세월은 흐르고 역사의 나이테는 쌓이겠지만, 언제나 조금도 변하지 않는 것은 옛 성현들의 &lt;진리&gt; 말씀이다.옛날 인도에 몹시 인색하고 탐욕스러우며 욕심이 매우 많았던, 나이가 80이 넘은 한 귀…
    2020-12-11 
    ‘프로크루스테스’는 ‘잡아 늘이고 줄이는 자’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그는 힘이 엄청나게 센 거인 악당으로 아테네 교외의 케피소스 강가에 살면서 강도질을 일 삼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집에는 철로 만든 침대가 있는데, 그는 지나가는 행인을 …
    2020-12-04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과정과 결과를 지켜보면서 많은 미디어와 학자들은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전세계에서 민주주의의 교과서라고 불리울 만큼 모범적 민주주의의 행동 양식과 제도화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아오던 미국이 대선 과정에…
    2020-11-27 
    사회학자들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미 구축된 선입견과 고정관념은 웬만하면 그냥 익숙해진 방식대로 살고 싶어 한다고 한다. 즉 기존의 틀에 새로운 것을 억지로 끼워 맞추는 ‘동화’의 과정은 사고의 틀 자체를 변화시키는 ‘조절’에 비해 한결 수월하고 마음 편한 길이라고 생각…
    2020-11-20 
    미국 대통령 선거가 일단 끝났다. 그러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선거와 개표 제도의 복잡성과 초 박빙 승부 때문에 최종 판정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의 주류 언론들은 대체로 조 바이든 후보의 승리를 거의 확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러면서 트럼프에게는 &#…
    2020-11-13 
    지금 우리 국민들은 겉과 속이 다른 문 정권의 각종 명령과 통제에 나도 모르게 &lt;길들여져&gt; 가고 있다. 누가?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동포들이ㅡ. 진정성이 결여된 집권 세력들의 각종 거짓말과 조작 음모에 숨소리조차도 믿기 어려운 세상에 살고 …
    2020-11-06 
    미국 대선이 코 앞이다. 다음주 3일이면 오래 전부터 시작된 59번째 대선 전과정의 최종 승자가 결정된다. 선거 결과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의 4년도 백악관의 현 주인으로서 미국 행정부와 연방정부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이든 전 …
    2020-10-30 
    우리는 왜 사는가? 이 물음에 대해서는 그 동안 여러 논자(論者)들이 많은 글을 남겼다. 허나 나는 또 다른 시각에서 이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보았다. 왜냐면 요즘 매일 SNS에 뜨는 내 조국에서 일어나는 전대미문의 사기극과 철가면들의 위선을 지켜봐야 하는 참담한 현…
    2020-10-23 
    지난 주말, 다시 나훈아 추석 특집 공연을 다시 한 번 보았다. ‘코비나 방콕’이 우리 일상을 가두어 둔 덕분이었다. 하지만 나는 다시 본 그의 공연에서 귀한 행간의 뜻을 새로이 읽었다. 물론 추석 연휴 KBS ‘대한민국 어게인’ 쇼에서의 입담이 곳곳에서 큰 화제와 후…
    2020-10-16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 / 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 / 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60년대 후반 당시 톱 가수 故 최숙자 씨가 불러 대히트를 기록하였던 노래 ‘눈물의 연평도’ 가사다. 애절한 가사, 구슬픈 음…
    2020-10-09 
    지난 9월22일 우리나라 해수부 공무원이 북한군에게 총격으로 피살되고, 기름을 끼얹어 시신이 불태워지는 엽기적인 참극이 발생했다. 망망대해를 서른 시간 이상 표류하는 기진한 사람에게 총탄을 퍼붓고 그도 모자라 불을 질러 시신까지 훼손시킨 북한 김정은 도당의 잔학함에 우…
    2020-10-02 
    미국 대통령 선거가 불과 40일 밖에 남지 않았다. 이번 대선에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지속적인 확산으로 인해 우편투표가 광범위하게 시행될 예정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로 역대 최고의 우편 투표율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콜로라도와 워싱턴을 비롯…
    2020-09-25 
    권두칼럼근간 모 신문에 “하마터면 속을 뻔했다”는 칼럼이 있었다. 현정권의 무능한 모습을 조목조목 뼈 아프게 지적한 내용이었다. 이 글을 읽으며 언제가 한 청년이 쓴 “하마터면 열심히 살 뻔했다”는 책을 다시금 떠올렸다. 당시 소개 기사에 따르면, 요즘 젊은이들 사이에…
    2020-09-11 
    먼지가 일어난다 / 살아난다당신은 나의 먼지 / 먼지가 일어난다살아야 하겠다 / 나는 생명, 출렁인다이 글은 최인호 작가가 2013년 9월10일 오전 귀천하기 얼마 전 병상에서 마지막 남긴 독백 한 줄이다. 그가 서울 성모병원 21층 병상에 누워 있을 때 쓴 마지막 유…
    2020-09-04 
    서울의 한 대형교회 목사가 주도한 광복절 광화문 집회가 코로나 바이러스 재확산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 안타깝게도 그 목사가 주도한 광복절 집회로 인해 신천지와 이태원 클럽 사태에 이어 제2차 코로나 대유행이 현실화되었다. 결국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
    2020-08-28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