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연평도는 지금도 눈물에 젖어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NEWS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928회 작성일 20-10-09 13:44

본문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 / 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

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 / 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

 

60년대 후반 당시 톱 가수 故 최숙자 씨가 불러 대히트를 기록하였던 노래 ‘눈물의 연평도’ 가사다. 애절한 가사, 구슬픈 음율, 절륜의 음색 등 3박자가 제대로 엮어져 탄생시킨 당대 최고의 트로트 걸작이었다. 늘 태풍을 겪는 연평 도민의 고달픈 삶도 그렇지만, 바다에 남편(또는 부친)을 잃은 이들의 望夫(父)歌로 당시 그만큼 가슴을 에이게 하는 대중가요도 없었을 것이다. 

 

언젠가, 연평도는 아니지만, 한참 세월이 흐른 후 서해안 어디 어촌 출신인 저명 서예가인 한 지인의 회고담이 떠올랐다. 

ㅡ초등학교 5학년 때던가, 잠결에 언뜻 눈을 떠보니, 어머니가 노란 백열등 아래서 바느질을 하고 계셨어. 그러면서 들릴 듯 말 듯 혼자 읊조리시던 노래가 바로 ‘눈물의 연평도’ 였어. 몇 번을 계속하시더라구.

 

어머니, 당신의 처지가 바로 그와 같았다는 얘기다. 아들은 눈물을 감추려 고개를 모로 돌렸을 것이고. 반세기 넘도록 지금도 연평도는 여전히 ‘아픈 섬’이다. 조기 풍어의 황금어장으로 북적이던 풍요의 섬은 언제부턴가 씨 마른 조기 대신 꽃게잡이로 버티고, 해마다 어김없이 태풍이 할퀴고 가는 길목인 데다 주변 해역에선 난파와 납북이 잊을만하면 이어져 오래된 가호(家戶)치고 피맺힌 사연 없기가 드물었으니...옛부터 이곳은 심청이가 몸을 던진  ‘인당수’로 알려져 있는 곳 아니었던가. 

 

거기에, 근년엔 北의 도발로 인한 교전과 피폭(被爆)으로 뭍에서의 일상과 생존마저 위협을 받아왔던 터라. 그 연평도 앞바다에 또 하나의 참담한 사연이 뿌려졌다. 이미 각 언론에서 도배를 했기에 그 자초지종은 넘어가기로 하자. 다만, 피해자였던 우리 국민인 해수부(海水部) 공무원의 참변을, 이 변고를 깔아뭉개려는 정상배들의 기막힌 해명에 다시 한 번 분노를 표하고자 싶다. 

 

뭐라? ‘이혼에, 노름빚에, 월북하려다 죽은 해프닝’이란다. 말하자면, 그러니 진상규명도 안타까워할 일도 없다는 얘기였다. 해상경계나 대응의 부실도 그에 묻어버리려 하고, 국민이 횡사한 날 UN총회에 종전을 외친 경박함도 누가 보냈다는 사과문에 감지덕지 싸서 버무리려 하는 기만이다.

 

삼라만상 살아있는 생명이 다 그렇겠지만, 인간 한 사람의 목숨과 그 인생은 더없이 소중하다. 정의(正義)의 뜻이 아니라면 함부로 죽게 내버려 두거나, 삶의 흔적을 제멋대로 폄하해선 안 될 일이다. 만의 하나, 설사 그가 월북하려 했던들 그렇게 처참하게 죽게 내버려 두는 건 사람의 할 일이 아니다. 

 

급작스런 변사도 하늘이 무너져 내릴 노릇일 텐데 졸지에 월북자, 파렴치한이 돼버린 고인의 가족은 남들 다 즐거운 명절 – 지난 추석을 어찌 보냈을까? 생각만 해도 처절하고 측은하기만 하다. 더구나 그분의 아들이 대통령 앞으로 보낸 손 편지를 보면, ‘그 분’은 그걸 읽고 목구멍에 밥이 넘어갔을까? 

 

15년 만에 등장한 ‘나훈아 쇼’에 열광한 다음날. 그의 입담, 비장한 어조의 ‘개구라’가 귀를 울린다. 

ㅡ왕도, 대통령도 국민 때문에 목숨 걸었다는 사람은 한 사람도 본 적이 없다. 국민이 이 나라를 지켰다.”고 한 뼈아픈 한 마디, 우리에겐 그 ‘국민’마저 없어서 그런가? 

 

연평도는 지금도 눈물에 젖어있을 것이다. *

 

손용상 논설위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근간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국 사회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고 한다. 이미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10%이상)에 들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거기다 결혼 적령기 처녀 총각들의 혼자 살기, 아기 안 낳기도 심각한 수준이라 한다. 실제로 올 해 들어 사망인…
    2021-01-20 
    코로나 19의 재창궐은 한국만의 상황이 아니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선 지난 여름 이후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확산과 재 확산이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지난 연말 크리스마스 전후 기준으로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가 7,801만 명, 사망자 수는 171만 명을 넘어섰다고…
    2021-01-08 
    2021년 신축년(辛丑年) 새해 첫날이 밝았다. 천간지지(天干地支)의 순서에 따라 소띠에 해당하는 해이다. 자료에 따르면, 천간(天干)이 ’신(辛)’이고, 지지(地支)가 ‘축(丑)’인 신축(辛丑)은 60간지 중 38번째다. 신(辛)은 백(白)이므로 ‘하얀 소’의 해라는…
    2020-12-31 
    정치 양극화는 미국정치의 특징을 가장 쉽고도 정확하게 표현하는 단어이다. 미국에서 1970년대 의회에서 진행되어온 정치 양극화는 1990년대와 2000년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문가들의 예상보다도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왔다.또 의회내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의원들에게…
    2020-12-24 
    주역(周易)에 ‘이인동심(二人同心) 기리단금(其利斷金)‘이란 말이 있다. 두 사람이 한 마음이면 단단한 쇠도 자른다‘란 말이다. 이는 함께 사는 이웃들과의 인간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단적인 비유를 얘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학자들은 ‘공존지수’ 혹은…
    2020-12-18 
    12월도 중순에 들었다. 세상이야 뒤집히든 말든 세월은 흐르고 역사의 나이테는 쌓이겠지만, 언제나 조금도 변하지 않는 것은 옛 성현들의 <진리> 말씀이다.옛날 인도에 몹시 인색하고 탐욕스러우며 욕심이 매우 많았던, 나이가 80이 넘은 한 귀…
    2020-12-11 
    ‘프로크루스테스’는 ‘잡아 늘이고 줄이는 자’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인물이다. 그는 힘이 엄청나게 센 거인 악당으로 아테네 교외의 케피소스 강가에 살면서 강도질을 일 삼았다고 전해진다. 그의 집에는 철로 만든 침대가 있는데, 그는 지나가는 행인을 …
    2020-12-04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과정과 결과를 지켜보면서 많은 미디어와 학자들은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전세계에서 민주주의의 교과서라고 불리울 만큼 모범적 민주주의의 행동 양식과 제도화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아오던 미국이 대선 과정에…
    2020-11-27 
    사회학자들에 따르면, 사람들은 이미 구축된 선입견과 고정관념은 웬만하면 그냥 익숙해진 방식대로 살고 싶어 한다고 한다. 즉 기존의 틀에 새로운 것을 억지로 끼워 맞추는 ‘동화’의 과정은 사고의 틀 자체를 변화시키는 ‘조절’에 비해 한결 수월하고 마음 편한 길이라고 생각…
    2020-11-20 
    미국 대통령 선거가 일단 끝났다. 그러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선거와 개표 제도의 복잡성과 초 박빙 승부 때문에 최종 판정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의 주류 언론들은 대체로 조 바이든 후보의 승리를 거의 확정적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러면서 트럼프에게는 &#…
    2020-11-13 
    지금 우리 국민들은 겉과 속이 다른 문 정권의 각종 명령과 통제에 나도 모르게 <길들여져> 가고 있다. 누가?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동포들이ㅡ. 진정성이 결여된 집권 세력들의 각종 거짓말과 조작 음모에 숨소리조차도 믿기 어려운 세상에 살고 …
    2020-11-06 
    미국 대선이 코 앞이다. 다음주 3일이면 오래 전부터 시작된 59번째 대선 전과정의 최종 승자가 결정된다. 선거 결과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의 4년도 백악관의 현 주인으로서 미국 행정부와 연방정부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대로 바이든 전 …
    2020-10-30 
    우리는 왜 사는가? 이 물음에 대해서는 그 동안 여러 논자(論者)들이 많은 글을 남겼다. 허나 나는 또 다른 시각에서 이에 대한 나름의 답을 찾아보았다. 왜냐면 요즘 매일 SNS에 뜨는 내 조국에서 일어나는 전대미문의 사기극과 철가면들의 위선을 지켜봐야 하는 참담한 현…
    2020-10-23 
    지난 주말, 다시 나훈아 추석 특집 공연을 다시 한 번 보았다. ‘코비나 방콕’이 우리 일상을 가두어 둔 덕분이었다. 하지만 나는 다시 본 그의 공연에서 귀한 행간의 뜻을 새로이 읽었다. 물론 추석 연휴 KBS ‘대한민국 어게인’ 쇼에서의 입담이 곳곳에서 큰 화제와 후…
    2020-10-16 
    “조기를 담뿍 잡아 기폭을 올리고 / 온다던 그 배는 어이하여 아니오나~수평선 바라보며 그 이름 부르면 / 갈매기도 우는구나, 눈물의 연평도~”60년대 후반 당시 톱 가수 故 최숙자 씨가 불러 대히트를 기록하였던 노래 ‘눈물의 연평도’ 가사다. 애절한 가사, 구슬픈 음…
    2020-10-09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