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N 데스크칼럼
[권두칼럼] 강한 ‘자신감’만이 ‘희망’을 만든다.
페이지 정보
본문
강한 ‘자신감’만이 ‘희망’을 만든다.
보통 우리 인생은 만남과 이별을 되풀이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즉 하나를 얻으면 다른 하나를 잃어버리는 것이 삶이라는 것… 선현(先賢)들의 말이다. 지난 한 해 나는 그 중에서도 무엇을 얻었나 보다는 무엇을 잃어버렸는가를 먼저 생각해보았다. 되돌아 보건대, 나에겐 살아야 한다는 것과 살아 있다는 것 ㅡ 두 가지 모두가 다 중요했다. 허나, 앞으로 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나는 지금부터는 ‘살아 있다’는 것에 무게를 두고 싶다. 왜냐하면 ‘존재’를 상실하면 아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지난 세월의 달력을 거꾸로 돌리면, 사람들은 대다수가 나름대로 늘 정신없이 달려왔다고 말한다. 시간이라는 족쇄를 벗기려고 넘어지고 다치고 눈물을 흘리면서 달렸다고 했다. 혹자(或者)는 사는 게 코로나로 인해 ’희망이 없다‘고 탄식했고, 어떤 이는 맨날 얼굴을 찌푸리게 하는 소식들만 가득하다고 이제는 TV나 신문 보기조차 짜증 난다고도 했다.
그런가 하면 도둑이 들어오는데 아무도 대문을 지키려 하지 않는 나라, 눈만 뜨면 거짓말을 진짜처럼 여기게 만드는 ‘내 나라’를 떠나고 싶다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긍정적인 사람들은 어딘 가에 희망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희망을 일구는 나름의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때로는 상처도 있었지만, 그래도 되돌아보면 지난 세월은 항상 아쉽게 느껴진다고도 했다.
'썩소'와 ‘미소’라는 말이 있다. ‘썩소’는 입꼬리만 웃는 가식의 웃음이고, ‘미소’는 눈이 같이 따라야 진짜 웃음이라는 것이다. 틀린 말이 아니다. 기분이 좋아지면 눈가에 주름살이 잡히고, 이를 '뒤셴 (Duchenne) 스마일’이라 부른다고 하는데, 이 말은 사람의 이런 눈가의 근육 움직임을 가장 먼저 발견한 프랑스의 신경 해부학자 이름을 딴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기분이 좋지 않을 때는 이 근육은 움직이지 않는다고 한다. 어느 시인의 말처럼 '한번 울고 싶을 때 두 번 웃는다'는 마음가짐으로 지난 세월을 ‘썩소’ 보다는 ‘미소’로 모든 일을 밝게 이웃을 배려하며 긍정적으로 살았다면.. 아마 못 이룰 일이 없었던 한 해가 아니었을까 다시 한번 되돌아본다.
또 한 가지 가슴에 새겨진 것은 “해가 있는 쪽으로 얼굴을 향하면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다“라는 헬렌 켈러의 말이다. 이 문구는 참으로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경구(警句)다. 어떤 자는 지금 살기도 힘든데 언제 앞뒤 가릴 시간까지 있겠냐고 하지만, 그러나 눈멀고 귀가 들리지 않았던 헬렌 켈러처럼 긍정심으로 노력하면 그 어떤 삶도 극복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런 노력은 인생을 틀림없이 밝게 만든다는 요체이기 때문이다. 자신의 불행을 자꾸 한탄하고 스스로를 학대하면 어둠의 늪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고, 그 끝에는 파멸 만이 있을 뿐이다. 밝음은 어둠을 이기는 법이기에 밝은 얼굴은 역경을 극복하게 해주고 성공을 가져다주는 ‘복덩어리’라는 옛말은 빈말이 아니다. 그렇다. 사람은 얼굴이 햇살같이 밝아야 복이 따라온다.
주지하다시피 조국 대한민국은 올해 대선과 지방선거가 거의 동시에 치러지는 해다. 하지만 정권 교체를 희구하는 사람들은 연말과 연시를 지나면서 못난 정치꾼들의 ‘호작질’에 짜증이 나 있다. 더구나 집권 여당 후보의 비리를 둘러싼 증인들의 이해 못 할 ‘자살 당함’에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가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누구누구의 잘잘못을 따진다는 것 자체가 부질없을 만큼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다. 거기에다 북쪽은 연일 ‘미상의 발사체’를 쏴 대며 조국의 안위를 위협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 국민들은 그 원인이 무엇이든 간에 근원적인 ‘정직한 절망’에 쌓여 있다. 그러나…아직 절망을 이야기하기는 이르다. 그 까닭은 오로지 ‘정직한 절망’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스스로 ‘자신감’을 되찾는 사람들 만이 다시 ‘희망’ 만들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2022년 범띠 새해가 문을 열고 새로운 시발(始發)을 알렸다. 새해는 대개 ‘희망’을 말한다. 상징물인 범은 인간에게 우선 두려움의 인상을 심어주지만, 사실 호랑이는 뛰어난 예지력과 당당한 자신감을 동반한 생존 능력이 탁월한 대표적 동물의 표상이다. 그리고 어떤 사냥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는 맹수다. 설사 작년 한 해 잘 익은 실과(實果) 한 톨도 챙기지 못했다는 자괴심에 혹 마음에 상했더라도, 이제 호랑이의 늠름한 기상을 보고 새해엔 큰 ‘희망’을 가지자. 국내외 모든 우리 동포 사회에도 강한 생존력을 지닌 범의 자신감이 함께 충만해지기를 기대해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