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N 칼럼
[김미희 시인의 영혼을 위한 세탁소] 능소화의 얼굴
페이지 정보
본문
“속이 다 시원해. 십 년 묵은 체증이 이제야 내려간 것 같아!”
밤늦은 퇴근이었지만, 집에 오자마자 불을 켜고 뒤란으로 나갔다. 이제나저제나 하며 참아왔던 날이 드디어 오늘이었다. 끝내 참지 못하고 뒤란 정원을 깨끗이 뒤엎어 버렸다. 능소화가 한창이었지만, 정원에 퍼진 줄기들을 그대로 둘 수는 없었다. 이미 무성하게 우거져 숲이 되고 말았기 때문이다.
작년 늦가을, 일요일 아침에 큰 용기를 내어 옆집 문을 두드렸던 적이 있다. 대답이 없어 그냥 돌아오긴 했지만, 다시는 내 정원이 짓밟히는 꼴을 두고 보지 않겠다고 다짐하며 돌아섰다. 그 후로 다시 찾아갈 용기는 없었고,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마음을 가을걷이에 쏟아부었다. 그렇게 치운 정원이 다시 숲이 되어버린 것을 보니, 이제는 꽃이 더 이상 꽃으로 보이지 않는다.
능소화를 처음 본 건 이 집으로 이사 와 처음 맞은 여름이었다. 옆집 담장을 넘어온 주황색 꽃이 너무 반갑고 예뻤다. 매일매일 한 뼘씩 다가와 환하게 웃으며 반기던 그 모습에 내 세상까지 밝아지는 듯했다. 잘 가꿔진 뒤란 정원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해주었고, 자랑이 되기도 했다. 그 뒤로 몇 해 동안 능소화는 환영받는 꽃이었다. 강렬한 텍사스 여름에도 시든 기색 없이, 한결같이 싱싱하게 피어 여름이 기다려지기까지 했다.
하지만 몇 해 전부터 능소화는 더 이상 반가운 손님이 아니었다. 얄밉다는 생각이 들 무렵까지는 그럭저럭 견딜 만했다. 이 정도쯤은 내가 통제할 수 있겠다고 여겨, 올라오는 줄기들을 바로바로 잘라내며 버텼다.
기웃기웃 담장을 넘어와 흔들던 손엔 더 이상 ‘가냘프고 애처로운 소화’라는 궁녀의 전설이 담겨 있지 않았다. 능소화는 스스로 설 수 없기에 누군가를 휘감거나 다른 물체에 붙어 타고 올라가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자신의 생존을 위해 지지대가 되어준 존재를 가차 없이 짓밟아 버린다. 그러면서 영역을 넓힌다. 여름 내내 지지대가 되어주던 작은 나무들은 지네발처럼 생긴 흡착 뿌리에 기가 다 빨려 크지도 못하고 시름을 앓다가 결국 겨울을 넘기지 못했다. 그렇게 옆집 담장을 넘어온 능소화는 서서히 우리 집 뒤란 정원을 점령해 갔다.
온갖 봄꽃이 지고 세상이 초록으로 물들면, 능소화는 주황색 나팔을 주렁주렁 매달고 또 담장을 넘는다. ‘능소화’는 ‘업신여길 능凌’, ‘하늘 소霄’ 자를 쓴다. 즉, ‘하늘을 업신여기는 꽃’이라는 뜻이다. 무서운 이름답게 그 모습은 온 세상을 뒤흔드는 그러나 말도 안 되는 헛소문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머릿속을 숲으로 만들어버리는 기억처럼 문득문득 떠오른다. 그리고 그 기억은 마치 비웃음처럼 다가온다. 남의 행복을 웃는 얼굴로 무너뜨리는 꽃. 감언이설로 다가와 사람을 홀리고, 그 사람의 모든 것을 짓밟고 떠나는 무서운 존재 같기도 하다. 너밖에 없다고, 가족이라며, 하나뿐인 동생이라며 앞에서는 세상에 없는 다정한 얼굴이다가, 등 뒤에선 험담과 이간질로 사람을 피폐하게 만드는 검은머리짐승처럼 느껴졌다.
내 삶에서 한 사람을 송두리째 지워버리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를 처음 만났을 때는 맑은 웃음에 좋은 인연이 오고 있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좋은 인연은 끝이 좋아야 한다고, 무심코 그런 생각도 했던 것 같다. 그러려면 오래 남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이젠 이런 생각을 한다.
사는 대로 살다가도, 문득 그때가 생각나면 속아 살았던 내 자신이 용서되지 않는다. 평생을 안고 가야 한다면 견디리라 다짐 한 적도 있다. 보일 때는 그렇게 견뎠고, 더는 볼 수 없게 되자 잊은 척 살기도 했다. 하지만 지네발 같은 흡착 뿌리는 내 마음속 정원에 기생하고 있다가 수시로 줄기를 밀어 올린다. 믿었던 세월만큼의 시간이 지나면 흡착 뿌리도 힘을 잃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 강한 생명력은 무시할 수 없었다. 그는 여전히 능소화처럼 맑은 얼굴로 내 정원을 짓밟고 있다.
어느 순간부터 나는 즐겁지 않은 자리는, 그곳이 어디든 가지 않게 되었다. 보고 싶은 사람과 만나는 시간에 집중하려고 한다. 귀 아픈 소리는 듣지 않으려 하고,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이야기에 흥미를 두지 않게 되었다.
마음은 함부로 줄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더욱 조심히 다루어야 한다. 무언가를 가진다는 것은, 끝내 버텨야만 하는 일인지도 모른다. 나는 오래 남는 사람이 되고 싶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