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N 칼럼
빵나무(Breadfruit Tree)
페이지 정보
본문
하와이에서 생긴 일 (30)
“여기는 뽕나무 밭이네. 여기서 누에 치나?”
“상필 씨는 뭐든 반은 맞아.”
“반만 맞아도 어디야. “
“이 나무들은 뽕나무과인 빵나무야.
“빵나무라니, Bread Tree란 말야? 우리 시골 집 감나무 만큼 큰데?”
“Breadfruit Tree라고 해. 우리 클럽에서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농업분야가 바로 이 빵나무 사업이야. 우리 아버지가 적극 참여하고 있어.”
“아니, 미국에 식량난이 아직 해결 안된거야? 아니면 하와이에 빵 문제가 있는거야?”
빵나무는 태평양에 위치한 사모아와 타히티 등 섬에서 자생하는 나무인데 하와이에는 AD 12세기 경에 이들 섬으로부터 전해졌다. 빵나무 한 그루당 연간 최대 180kg의 열매를 수확하는데 탄수화물 외에 비타민 A, B, C와 무기질이 골고루 갖춰있어서 수 세기 동안 섬사람들의 주식이었고 한 가정에 이 나무 한 두 그루면 1년 양식이 되었다.
“지금의 빵나무 재배는 빵을 먹기 위한 것이 아니라 빵나무가 갖고 있는 효능 때문이야. 천식, 안약, 피부염 등에 좋은 약성분이 들어있고 또 나무의 즙은 라텍스라고 불리는데, 코코넛 오일과 함께 섞어서 선박에 색칠을 하거나 특유의 끈끈한 성질을 이용해서 풀로 쓰이지. 나무의 줄기는 실로 뽑아내어 옷감을 만들고. 이건 비밀인데 우리 연구소에서는 빵나무에서 축출하는 약품으로 장차 노벨 의학상을 목표로 하고있어.”
“원대한 꿈을 가지고 계시네. 꼭 이뤄지기를.”
상필이 가슴에 성호를 긋는 시늉을 했다.
“상필씨, 좀 점잖을 수 없어? 하와이 원주민들은 원래 고구마나 타로를 재배해서 주식으로 하던 사람들이라 농사에는 조예가 깊은 민족이야. 빵나무 재배사업으로 하와이인들에게 많은 일자리가 주어진다고 해. 어, 잠깐.”
레이가 어느 허름한 가게 앞에 차를 세우고 급히 들어가더니 누르스름한 밀반죽 같은 것을 들고나왔다.
“이게 뭐야?”
“이게 하와이인들이 좋아하는 빵나무 포이야. 빵나무 포이를 파는 곳은 아주 드믈어. 하와이 원주민들이 사는 곳에 이게 있어.”
“타로 포이와 비슷하게 생겼네.”
“맞아요. 빵나무 열매의 껍질을 벗기고 삶은 다음 타로 포이처럼 돌공이로 짓이기면 차지게 되고 구수하게 되지. 우리 아버지가 타로 포이 만드는 것 봤지? 포이 먹는 것처럼 손가락으로 요렇게 찍어서 먹는거야요.”
빵나무 포이는 뭐라고 할까, 맛이 심심했다. 살짝 고구마 맛이 나기도 하고 한국의 막걸리 빵같은 맛이났다.
“하와이 원주민들은 이 빵나무 맛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어. 우리 엄마가 떡을 좋아하는 것처럼.”
“레이도 이 빵나무 포이 좋아해?”
“나는 빵나무 포이를 먹기는 해도 삼가고 있어. 살 찌는 음식이잖아.”
“히야, 나중 우리 집에 이 빵나무 한 그루 심어놓고 평생 먹으면 되겠네.”
“빵만 먹고 사니?”
레이는 한국인 엄마가 “밥만 먹고 사니”하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고 하며 웃었다.
“빵나무가 영화의 주인공이 된 일이 있어. ‘바운티호의 반란’이란 영화에서.”
“바운티호의 반란? 들어본 것 같은데?”
“그 영화의 주인공이 빵나무였어.”
“에이, 빵나무가 무슨 주인공이야.”
“정말이야. 우리 아버지가 비디오 보여주셨어. ’Based on true story’라는 거 있지? 사실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인데 빵나무에 얽힌 흥미로운 영화였어.”
바운티호는 1784년 건조된 민간 상선이었는데 영국 해군이 1787년 특수 임무를 위해 사들이고 시설물을 뜯어 고친다. 바운티호(선장 Captain Bligh)의 공식 임무는 측량이었으나 진짜 목적은 남태평양 특산물인 ‘빵나무(breadfruit)’ 묘목 운송에 있었다.
빵나무 묘목 운송을 위해 화물칸을 확대하고 선장실을 온실로 바꿨다. 직사광선이 좋지 않다고 하여 간접광선을 받도록 불투명 유리시설을 만들고 화물칸의 습도 유지를 위한 특수장치까지 했다.
묘목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갖춘 바운티호, 그런데 1789년 4월 28일 새벽 5시 무렵, 남태평양 타히티섬과 호주 중간 부근 해역을 항해 하던 중 선상 반란이 일어났다. 선원들을 함부로 대하고 폭언을 일삼던 선장에 대한 항거였다.
선원들에게는 조그만 일에도 매질을 하고 심지어 먹을 물을 아끼면서 빵나무 묘목은 애지중지 물을 아끼지 않는 것을 보고 “우리 보다 빵나무 묘목이 더 중요한가”라는 반란이었다.
반란자들은 선장을 묘목과 함께 작은 보트에 실어 바다에 떠나보냈으나 블라이 선장은 오랜 표류 끝에 영국으로 돌아온다. 빵나무 묘목과 함께. 그 후 반란자들을 찾아내고 법적 소송을 벌리는 이야기.
“와우, 그 선장 빵나무에 대한 집념이 대단했네. 진짜 빵나무가 주인공이 된 영화였군. 세상은 온통 모험이야. 그런데 영국에서는 왜 빵나무가 필요했을까?“
“영국의 빵나무 재배는 식민지 개발에 필요한 노예들에게 먹이려고 했던거야.”
“노예들에게 진짜 빵을 주기 아까워서?”
“역사도 겉모습과 속이 다른 것이지요. 특히 영국의 식민지 역사는…” <계속>
김수자
하와이 거주 / 소설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