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N 칼럼
[고대진] 운동은 뭘 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본문
◈ 제주 출신
◈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 에세이집 <순대와 생맥주>
나이가 들면서 친구들을 만나면 이야기의 중심이 건강이다. 아픈 곳은 없는지 어떤 운동을 하며 건강을 유지하고 있는지 라는 질문이 많다. 샌안토니오에 살 때는 같은 동네에 살던 분에게 학생 때 운동을 많이 하셨느냐고 질문을 받기도 했는데 그것은 건강을 위한 운동이 아니라 학생운동을 많이 한 소위 운동권 출신이냐는 질문이어서 당황한 적이 있었다. 그런 운동요? 열심히 했지요 하고 웃어넘겼지만 그런 운동도 운동이었다.
사실 난 어렸을 때 작은 키에 몸도 약해서 자주 학교도 빠질 정도로 병치레가 잦았다. 작다는 이유로 시비를 걸어오는 녀석들과 싸움을 많이 했다. 많이 맞고 많이 때리고 피 흘리고 하는 나에게 아버지가 유도를 시키셨다. 맞고 다니지 말라고. 유도를 한다는 소문이 난 뒤로는 시비 거는 아이들이 줄어들고 삶이 좀 편해진 것 같다. 그 뒤로도 호신용 운동을 많이 했는데 나중에 검도까지 배웠다. 검도는 공군 사관학교 수학 교관으로 있을 때 체육교관으로 있던 선배에게 부탁해 학생들과 함께 배웠는데 인기가 없는 수학 교관을 가르치려는 생도들에게 주로 맞아주는 역할을 했다. 한 수 부탁드린다면서 대련 도전을 하면 어쩔 수 없이 상대해줘야 했는데 나보다 몇 년 더 배운 녀석들에게 다리 부위에 가격을 받아 퍼런 멍 자국을 달고 다녔다. 이 생도들과 수영을 같이 하게 되었는데 내 다리를 퍼렇게 멍들게 했던 생도에게 내가 한 수 배울까 하며 물속 깊이 끌고 가 물을 많이 먹였던 생각이 난다. 내가 물개라는 별명을 가진 교관인 것을 알고는 검도 훈련에서 다시는 “한 수 부탁드립니다”라는 말을 듣지 않게 되었다.
뭐든지 시작하면 열심히 빠져버리는 성격이라서 대학에 입학하면서 테니스에 미친 듯 몰두하고 열심히 연습하였다. 물론 타고난 재능이 별로 없는 나는 노력으로만 선수 생활을 할 정도는 아니었다. 하지만 당시 테니스를 배우고 싶어 하는 여학생들이 많아 여학생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것 같다. 과 대표 선수로 뽑히기도 했고 리치먼드 테니스 대회에서 우승도 몇 번 했으니 꽤 오래 즐겼던 운동이었다. 마누라와 연애할 때도 테니스를 가르쳐주며 시작했다. 손을 잡고 허리를 돌려주며 이렇게 저렇게 아주 상냥하게 가르치는 나에게 친구가 말했다. “야 나에겐 못한다고 소리 지르며 야단하더니 여자들에겐 손까지 잡으며 상냥하게 가르치네.”“그러니까 연애를 하지 소리나 지르면 누가 나에게 오겠냐?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고.” “고래를 춤추게 한다고 했지 결혼하게 한다는 말은 없던데?” “음- 고래와 춤추다 보면 정이 들기 마련이지.”
결혼 뒤 테니스장을 자주 찾았다. 키도 크고 다리가 길어서인지 빨리 공을 받아넘기고 운동신경이 나보다 나은 것 같았다. 가끔 시합할 때는 내기를 했다. 오늘 설거지는 누구? 청소는? 빨래는? 한 두 점 접어주고도 이기는 날 보면서 약이 오른 마누라. “내기 시합하면 당신 눈빛이 달라져. 한 번 져주면 안 돼?“ ”안 돼.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 ”옛날에는 안 그랬잖아“ ”응 그때는 스포츠 정신보다 더 중요한 정신이 있었거든.“ ”무슨 정신인데?“ ”응 사랑의 정신.“
버지니아 리치먼드에서는 운동에 소질이 있는 사람들이 많았다. 테니스 대회에 나가면 일등보다는 이등 삼등을 할 때가 더 많았다. 그래서 시작한 것이 마라톤이다. 오래 뛰어도 지치지 않는 체력을 만들기 위해서다. 13.1 마일을 달리는 반 마라톤을 완주하고 마라톤은 포기하고 말았지만 테니스 대회에서는 우승하게 된 이야기. 더운 리치먼드의 8월에 테니스 대회는 여섯 개임을 하루에 끝내야 했다. 대부분의 선수가 다섯 게임을 하고 나서는 쥐가 나거나 기진맥진해 기권해버리고 말았는데 난 아직도 몇 게임을 더 할 수 있는 듯 펄펄 날랐다. 사실 나도 엄청나게 지쳐 있었는데 지친 표정을 하지 않고 펄펄 날 듯이 뛰는 나에게 심리적으로 위축된 상대가 포기하고 만 것이다. 힘든 우승을 하고 집에 와보니 마누라도 우승 트로피를 들고 있었다. 여자대회 우승이었다. 참석자가 3명인 여자대회에선 2번만 이기면 우승이었다. “왜 그렇게 힘들게 우승해?“ ”우승이라고 다 같은 우승이냐?“ ”어떻게 다른데? 트로피는 같은데.“ 갑자기 몸에 힘이 빠지면서 다리에 쥐가 나는 것 같았다.
테니스를 하던 친구들이 골프로 바꾸기 시작하고 골프를 하자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 거의 중독이 될 정도의 골프의 매력은 칠수록 배울 것이 더 나온다는 것 때문이라고 한다. 치면 칠수록 더 좋아질 수 있겠다는 기대 때문에 계속 연습도 하고 시간을 보낸다. 몇 달 레슨을 받고 시작해본 골프는 나에겐 맞지 않았다. 시간이 너무 많이 들어 교수라는 직업과는 맞지 않기 때문이다. 두어 시간이면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는 테니스와 비교가 되었다. 내가 있던 대학에서도 골프를 하다가 빠져 테뉴어(종신교수)를 못 받아 다른 곳으로 가거나 정교수 승진을 못 하고 만년 부교수로 남는 사람이 많았다. 아직도 골프의 매력을 못 느끼고 있는 나를 보고 골프에 싱글 핸디인 동생은 이해를 할 수 없단다. ”은퇴하고 시간도 많은데 왜 안 해요?“ ”은퇴해도 바쁘긴 마찬가지야. 나중에 천국 넓은 푸른 풀밭에서나 하려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