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버스토리

美 인플레 둔화, 드디어 ‘신호탄’ 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커버스토리 댓글 0건 조회 1,718회 작성일 23-01-13 10:29

본문

40년만에 최고치를 찍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40년만에 최고치를 찍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2일(목),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6.5% 올랐다.
2일(목),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6.5% 올랐다.

12월 미 물가 6.5% 상승, 14개월만의 최소폭

인플레 압력 감소,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40년만에 최고치를 찍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12일(목),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6.5% 올랐다.

전년 대비로 6개월 연속 CPI가 감소한 것이다. 또한 6.5% 상승은 지난 2021년 10월 이후 14개월 만에 최소폭이다.

지난해 6월 9.1%까지 치솟았던 CPI 상승률은 10월 7.7%로 둔화한 데 이어 12월에는 6%대 중반으로 내려왔다. 특히 12월 CPI는 전월 대비로도 0.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로 CPI가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발생 직후인 2020년 5월 이후 최초다.

이는 최근 에너지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식료품 가격 상승폭도 둔화된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 공급망이 복원되고, 소비자들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자동차와 컴퓨터 등 상품의 가격이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보다 5.7%, 전월보다 0.3% 각각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11월 상승폭(0.2%)보다는 다소 늘었지만, 지난 8월과 9월에 기록한 0.6%와 비교하면 절반으로 줄어든 셈이다.

12월까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의 3개월 평균 상승률은 3.1%로 1년여 만에 최소폭을 기록했다.

이에 12월 CPI에서 인플레이션 압력 감소가 확인됨에 따라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이 제고될 전망이다.

 

◈ 연준의 피벗(정책 전환)은 언제쯤?

경제매체 CNBC는 12일(목) ‘연준, 인플레이션에 대한 승리 선언할 때? 아직은 아니다’(Time for the Fed to declare victory on inflation? Not yet)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12월 CPI의 월간 하락은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이기는 데 한 걸음 더 가까워지게 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CNBC는 12월 CPI의 월간 하락이 연준으로 하여금 조만간 정책 완화 신호를 보낼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진단했다.

경제학자들은 “이제 문제는 정책 입안자들이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기 전, 얼마나 더 많은 인플레이션 완화 증거를 확인해야 하는지이다”라고 말한다.

무디 애널리스틱스(Moody’s Analytics)의 수석 경제학자인 마크 잔디(Mark Zandi)는 ”연준이 해야할 일인 경기 예측을 하고 있다면 이번 수치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곧 끝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라고 말했다.

잔디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보고서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없다. 미국의 인플레는 이 시점에서 아래로 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제 및 정책 연구 센터(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의 수석 경제학자인 딘 베이커(Dean Baker)는 훨씬 더 단호했다. 

그는 트윗에서 ”연준이 승리를 선언하고 금리 인상을 중단할 때”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 저널은 최근 몇 달간 상품 물가는 떨어지는 반면 서비스 물가는 여전히 상승세를 보이는 등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시장에서는 이미 가격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 개념이 통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범위를 더 좁혀 `초근원`(슈퍼코어) 인플레이션을 들여다보는 시도까지 이뤄지고 있다. 

특히 주거비를 제외한 근원 서비스 물가, 혹은 여기에 의료비까지 제외하는 식으로 세밀하게 해석하려 한다는 것이다.

앞서 연준의 제롬 파월 의장도 지난해 11월 연설에서 상품, 주거비, 주거 이외의 기타 서비스 등 세 가지 부문의 물가를 관찰하고 있다면서 이 가운데 기타 서비스 물가가 근원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을 잘 반영한다고 평가한 바 있다.

그는 “기타 서비스 부문은 보건·교육부터 이발,·숙박업 등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비용에서 인건비 비중이 높다”면서 “이 부문의 인플레이션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를 노동시장이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

찰스 스왑(Charles Schwab)의 트레이딩 및 파생 상품 전무 이사인 랜디 프레데릭(Randy Frederick)은 ”고용 시장을 무너뜨리지 않고 인플레이션 감소를 설계할 수 있다면 그것은 ‘골디락스(goldilocks)’ 연착륙일 것” 이라고 말했다.

골디락스는 경기 과열에 따른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에 따른 실업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최적 상태의 건실한 경제를 가리킨다.

경제학자들은 연준이 추구하는 고금리 기조는 견고한 노동 시장 때문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들은 “임금이 계속해서 오르면 인플레이션 상승을 위협하기 때문에 이는 축복이자 저주”라고 덧붙였다.

12일(목)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1월 1∼7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1천 건 감소한 20만5천 건으로 집계됐다.

최근 미 기업들에서 정리해고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해 실업수당 청구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적지 않았지만, 실제로는 청구 건수가 15주 사이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6천 건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하는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도 163만 건으로 직전보다 6만3천 건 감소했다.

여전히 미국의 노동시장은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는 상황이다.

이달 초 발표된 고용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22만3천 개 증가했다. 

작년 전체로는 총 450만 개의 일자리가 증가해 월평균 37만5천 개씩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실업률은 3.5%로 전월(3.6%)보다 0.1%포인트 하락해 1960년대 후반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반면 연간 평균 시간당 소득 증가율은 4.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연준이 2022년 3월 금리 인상을 시작한 이후 얼마나 공격적인지, 그리고 고립된 데이터 포인트를 더 넓은 추세의 일부로 보는 것에 대해 얼마나 신중했는지를 고려할 때 승리를 선언할 가능성은 아직은 희박하다.

핵심(식품 및 에너지 제외) 인플레이션(이달 0.3%, 올해 5.7% 상승)은 여전히 연준의 목표인 2%보다 훨씬 앞서 있다.

무엇보다 연준은 통화정책 완화에 대한 시장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연내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통화정책 방향 전환에 대한 시장의 낙관론이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는 연준의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이유로 보인다.

실제로 연준이 이달 초 공개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19명의 FOMC 위원 중 2023년 중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 위원은 한 명도 없었다.

FOMC 위원들이 점도표에서 제시한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는 5.0∼5.25%로 현재보다 0.7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다만 12월 CPI가 개선됨에 따라 이달 31일~2월 1일 열릴 FOMC 정례회의에서는 0.50%포인트보다는 0.25%포인트 금리인상안에 무게가 실릴 것으로 보인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메인 라인 상공회의소 2023년 경제 전망 연례회의에서 “앞으로 25bp(0.25%p)씩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그러다 올해 어느 시점에선 정책 금리가 충분히 제약적이어서 금리를 동결해도 통화정책이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해 4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밟은 후 12월 0.5%포인트로 인상 속도를 늦췄다.

다만 일각에선 상품가격의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가격은 꾸준히 상승 중이고, 노동시장에서의 수요 초과 현상으로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이 이어지고 있는 현상이 연준의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대 달성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박은영 기자 © KT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커버스토리 목록
    2021년부터 3회 연속 한파 영향, DFW지역 거대 아이스링크장으로 변해…북텍사스에 또다시 2월 강력한파가 몰아닥쳤다.2021년부터 3년 연속이다. 올해 한파는 눈이 많이 내렸던 예년과는 다르게 얼음과 눈이 지표면 위로 내려 앉으면서 그대로 얼어붙어 북텍사스 지역은 …
    2023-02-03 
    평화통일 미술대회 시상식 병행 … 한인학생 6명 수상민주평화통일 자문회의 달라스협의회(회장 김원영)가 지난달 29일(일) ‘2023년 신년하례식 및 평화통일강연회’를 개최했다.민주평통 달라스협의회의 김원영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2023년 새해 남북 관계의 엄중함을 거론…
    2023-02-03 
    북텍사스한국여성회 제15대 이송영 회장 취임북텍사스 한국여성회를 새롭게 이끌어갈 제15대 이송영 신임회장이 취임식을 통해 ‘공감을 통한 달라스 한인사회 발전과 감동’을 강조했다.북텍사스 한국여성회 회장 이·취임식이 지난 28일(토) 오후 5시 캐롤튼 코요테 릿지(Coy…
    2023-02-03 
    차기 회장 선출 및 2023년 주요 사업 소개 등의 순서로 진행북텍사스 한인 간호사 협회(NTKNA, 회장 서순례) 정기 총회가 지난 28일(토)에 뉴욕라이프 캐롤튼 지점에서 열렸다.협회 회원 등 총 19명이 참석한 이날 정기 총회에서는 2022년도 회계 보고, 202…
    2023-02-03 
    달라스, 어스틴, 휴스턴 등 美 대도시 중 최고의 도시 TOP102022년 텍사스 일자리 65만개 이상 증가, 여전한 고용 강세텍사스가 지난해(2022년) 무려 65만 1백 개의 일자리를 추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관련기사 43페이지)코로나19팬데믹 여파를 빠르게 극복한…
    2023-01-27 
    제26대 포트워스한인회 박기남 회장, “ Together We can Build” 슬로건 제시“함께 세워가는 포트워스한인회 만들겠다(Together We can Build)”제26대 포트워스태런카운티 한인회를 이끌어갈 박기남 신임 회장이 취임식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2023-01-27 
    추신수 ‘달려라 라디오’ 출연, DKNET 유튜브 영상 폭발적 관심추신수 선수가 지난 17일 AM730 DKNET 라디오 ‘달려라 라디오’에 출연해 한 발언이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추신수 특집편 유튜브 조회수는 26일 기준 2만4천500회의 조회수를 올렸다.…
    2023-01-27 
    “더 맛있는 음식과 정성으로 찾아오겠습니다”한국의 유명 체인 음식점들 대거 입점 예고미주최대 아시안 마켓인 H마트(대표 권일연) 플레이노 지점 내 푸드코트가 계묘년 새해를 맞아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난다.지난 20일(금) H마트 플레이노 지점의 조선희 지점장은 매장 내 …
    2023-01-27 
    지난 26일 성영준 캐롤튼 시의원, 시장 선거 후보 등록 마쳐오는 5월 캐롤튼 시장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성영준 시의원이 지난 26(목). 후보 등록을 마쳤다.캐롤튼 시장 선거에는 성 의원을 포함해 경쟁 후보가 4~5명이 될 전망이다.이날 성 의원의 후보…
    2023-01-27 
    달라스 한인회, 미주총연 등 미주한인의 날 기념 행사 개최바이든 대통령 “미국의 성장, 번영 도운 한인들에 감사” 성명서 발표미주 한인 이민 120년의 역사를 기념하는 ‘미주한인의 날’ 달라스 기념식이 지난 14일(토) 오전 11시 캐롤튼 코요테 릿지 골프클럽(Coyo…
    2023-01-20 
    달라스 시 주최, 한영 표기 도로표지판 설치식 개최달라스 해리 하인즈 블루버드(Harry Hines Blvd)와 로열 레인(Royal Ln) 지역을 공식적인 코리아타운(Korea Town)으로 지정하자는 달라스 한인 사회의 오랜 소망이 첫 열매를 맺었다.지난 13일(금…
    2023-01-20 
    휴스턴 박요한 회장 미주부의장 직무대행, 달라스 김원영 회장 “평통 사무처장 직권남용에 의한 권리 행사 방해죄로 고발할 계획”대통령 직속기관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 사무처가 지난 6일(한국시간), 제20기 최광철 민주평통 미주지역 부의장에게 직무정지를 통…
    2023-01-20 
    정명훈 회장 “애봇 주지사, 텍사스 한인사회 위한 선언서 준비 중” 밝혀제29대 미주한인회총연합회(이하 미주총연, 회장 정명훈)가 지난 12일(목) 제120주년 미주한인의 날 기념식을 어스틴 텍사스 주청사(Capitol)에서 개최했다.식전 행사에서는 한국을 알리기 위한…
    2023-01-20 
    추신수 선수가 속한 SSG랜더스는 창단한 지 2년여 만에 정규리그 개막부터 한 번도 1위를 놓치지 않는 ‘와이어 투 와이어’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하면서 한국시리즈마저 석권하는 KBO 역사의 이정표를 세웠다.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머쥐고 돌아온 달라스 동네 친구 추신수 선…
    2023-01-20 
    12월 미 물가 6.5% 상승, 14개월만의 최소폭인플레 압력 감소,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40년만에 최고치를 찍은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12일(목), 연방 노동부에 따르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보다 6.5% 올랐다…
    2023-01-1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