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기자의 눈]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취소, 유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댓글 0건 조회 1,192회 작성일 25-05-24 05:12

본문

최현준 보도국장
최현준 보도국장

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달라스에서 열리지 않았다. 해마다 한인회 주관으로 이어져오던 이 의미 있는 자리가 올해는 행사를 하루 앞둔 시점에 전격 취소됐다. 달라스한인회는 본사에 보낸 이메일에서 ‘여러 가지 사유’를 들며 행사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알렸다.

현장을 직접 찾은 취재진의 질문에 김성한 한인회 회장은, 주달라스 영사출장소 도광헌 소장과 영사들이 한국 대선을 앞두고 이번 기념식에 참석하지 못한다는 연락을 했고, 5·18기념재단 달라스 지회 김연 회장 역시 출타를 이유로 부득이하게 행사를 취소하게 됐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설명을 듣고도 아쉬움과 의문을 지우기는 어렵다. 몇몇 단체장과 외빈 몇 명의 불참이 중요한 게 아니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은 광주의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 민주주의의 가치를 공동체 안에서 되새기는 상징적 자리다.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함께 공유하고 계승하자’는 취지로 1997년부터 국가기념일로 제정돼 대한민국 정부 주관 기념행사가 열렸고, 달라스에서도 한인회 주최로 매년 기념식을 진행해 왔다. 누가 오고, 누가 못 온다는 이유로 그 정신을 기념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과연 공동체의 대표 단체가 보여줄 태도였는지 되묻게 된다.

실제 일부 지역 동포들은 본지에 연락해 “왜 올해는 5·18 행사가 없느냐”며 당혹감을 나타냈고, “단 몇 명이 모이더라도 그날을 기억하는 자리는 열려야 하지 않느냐”는 항의도 있었다. 워싱턴 D.C., 뉴욕, 애틀랜타 등지에서는 올해도 기념식이 열렸고, LA 한인타운에서는 거리문화제가 열려 민주화의 정신을 알렸다. 현지 한인 2, 3세들이 함께 참여해 그 정신을 배웠다고 한다. 달라스와 가까운 휴스턴에서도 총영사를 비롯해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5.18 기념식이 열렸다. 그런데 왜 달라스에서는 그 뜻을 이어가지 못했을까…

기념식의 취지는 ‘사람을 많이 모으는 것’이 아니다. 잊지 않고 기억하는 태도, 함께 아파하고 의미를 되새기려는 공동체적 의지가 핵심이다. 올해처럼 갈등이 많은 시기에 오히려 이런 기념식이 더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김성한 회장은 아무도 나서지 않는 가운데 한인회장 선거에 출마했고, 묵묵히 한인회를 이끌고 있다. 그 헌신은 분명 박수받아 마땅하다. 김성한 회장과 김연 회장이 지난해 기념식에서 했던 말이 떠오른다. “광주의 희생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가슴에 새기자.” 그 말의 진심을 믿고 싶다. 그렇기에 더더욱, 이번 결정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진정한 공동체란, 바쁜 일정에도 누군가는 조용히 의미 있는 자리를 지켜주는 사람들로 유지되는 것이다. 5·18 기념식이 취소됐다고 해서 그날의 정신까지 취소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정신을 지키는 ‘태도’는 분명히 남아야 한다. 내년에는 더 많은 이들과 함께, 그날을 함께 기억할 수 있기를 바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DK 미디어그룹의 캐롤튼 새 사옥 이전 소식이 지난주 KTN에 보도된 이후, 한인사회 곳곳에서 따뜻한 축하와 격려의 인사가 이어졌다. “그동안 수고 많았다”, “앞으로 더 큰일을 해낼 것이라 믿는다”등의 말씀에 감사와 함께 무거운 책임도 느끼게 되었다.또한 “새 사옥은…
    2025-08-30 
    202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했다.1945년 그날, 우리의 조국은 일제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되찾았다. 이는 단순히 주권 회복을 넘어, 그 땅에 살던 세대들의 존엄과 존재가 되살아난 역사적 순간이었다. 그날을 살아낸 세대가 어떤 희생…
    2025-08-23 
    202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은 광복 80주년을 맞이한다. 1945년의 그날, 우리의 조국은 일제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되찾았다. 이는 단순히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의 주권 회복이 아니라, 그 땅에 살던 모든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 세대 그리고 우리 부모님 세…
    2025-08-16 
    – 한인사회를 위한 DKNET & KTN의 진실 추적 기록달라스 한인사회, 그 안에서 우리는 수많은 얼굴들을 만난다. 교회 집사, 성실한 사업가, 성공한 부동산 전문가, 친절한 이웃…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처럼 신뢰받는 얼굴들 뒤에서 악의적인 사기 행각을…
    2025-08-09 
    2025년 7월, 달라스에서 살아가는 한인 싱글맘들의 이야기7월의 텍사스는 덥다.한낮의 열기는 자동차 문을 열기도 버겁게 만들고, 그 열기 속에서 장을 보고 아이를 픽업하고, 퇴근 후 저녁을 준비하는 엄마들의 하루는 말 그대로 땀과 의지로 이어진다.그중에서도 ‘싱글맘’…
    2025-08-01 
    제목부터 도발적이다. 《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How Bullshit Conquered the World).이는 영국의 저명한 저널리스트이자, ‘에드워드 스노든 폭로 사건’ 보도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제임스 볼(James Ball)이 집필한 책의 제목이다.그…
    2025-07-26 
    2025년 미국땅에 살고 있는 한인 동포들은 두 명의 새로운 대통령의 등장을 지켜봤다.미국에서는 정상적인 절차, 시기에 새로운(물론 재임이기는 하지만) 대통령의 취임선서를 지켜봤고, 한국에서는 탄핵사태와 맞물려 급작스럽게 치러진 대통령 선거를 통해 새로운 대통령의 취임…
    2025-07-19 
    달라스 한인사회는 서로를 신뢰하며 뿌리를 내려왔다. 특히 부동산 시장은 언어, 문화, 정보의 장벽을 넘기 어려운 이민자들에게 ‘신뢰’ 하나로 버틸 수 있는 몇 안 되는 분야였다. 그런데 그 신뢰의 심장을 정면으로 배신한 인물이 있다. 바로 무면허 부동산 대표로 수년간 …
    2025-07-12 
    2025년 7월 4일, 미국은 독립을 선언한 지 249년을 맞이한다. 미국 전역이 성조기를 들고 축제를 벌이고, 밤하늘엔 수많은 불꽃이 수놓아지는 독립기념일, 우리 한인 동포들도 이 나라의 시민으로서 독립기념일을 함께 기념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우리는 이…
    2025-07-08 
    KTN 독자 여러분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매월 칼럼을 써 온 것이 어느새 1년이 훌쩍 지났다. 지난 1년 간 필자는 DK 미디어그룹에서 독자 여러분들에게 알리고 싶은 것들, 이해를 구하고자 하는 것들, 우리 사회를 위해 함께 하고 싶은 것들을 나누어 왔다. 지면을 통한 …
    2025-06-27 
    5월은 ‘가정의 달’로 대표되는 달이다.미국에는 마더스데이(5월 둘째 주 일요일), 한국은 어버이날(5월 8일)과 어린이날(5월 5일), 그리고 유엔(UN)이 제정한 세계가정의날(5월 15일)이 있는 5월은, 가정을 더 생각하고 돌아보며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달로 …
    2025-05-31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달라스에서 열리지 않았다. 해마다 한인회 주관으로 이어져오던 이 의미 있는 자리가 올해는 행사를 하루 앞둔 시점에 전격 취소됐다. 달라스한인회는 본사에 보낸 이메일에서 ‘여러 가지 사유’를 들며 행사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알렸…
    2025-05-24 
    동포사회에 또 다시 사기 사건이 발생했다. 현재까지 드러난 피해액이 무려 1백만 달러에 달한다.이번에는 이름도 생소한 CFD(Contract For Difference), 차액결제거래 파생금융상품 투자 플랫폼을 가장한 가짜 웹사이트를 통해 피해가 발생했다. 사기를 친 …
    2025-04-30 
    비영리재단 DK 파운데이션의 ‘더 키움’ 장학사업이 커뮤니티 안에서 꽃을 피우고 있다. 3년 전 첫 씨앗이 심겨져 열매를 거두었고 매년 자라나, 커뮤니티의 미래인 젊은이들을 키우며 미래를 일구는 일에 열매가 더해지고 있다.올해는 1월부터 ‘청소년 리더십 장학금’ 프로젝…
    2025-03-28 
    올해 2월 북텍사스는 그 어느해 2월보다 추웠다. 1939년에 세워진 2월 최저 온도 기록을 깰 정도의 혹한이 찾아왔고 지나갔다.그런데 날씨만 추운 것이 아니었다.AI 시대의 도래와 함께 예측불가 급변의 시대가 열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했다. 이후 그의 …
    2025-02-28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