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경청(傾聽)은 없고 ‘딴청’만 난무하는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오피니언 댓글 0건 작성일 19-11-29 09:42

본문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려는 미덕(?)이 없어진 것 같다. 언론 보도를 보거나 가끔 개인적으로 사람을 만나 세상 얘기를 하다 보면 왠지 ‘대화’가 없다. 상대방의 말에 대해 전혀 들어보려는 생각도 없이 논리도 안 맞는 자기주장(主張)만 앞세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완전히 딴 세상에 사는 사람 같아 황당해지기도 한다. 특히 이 정부의 집권층들이 그 전형이다.





이 나라 제1야당 대표가 목숨을 담보하고 영하의 날씨 속에서 일주일째 노숙 단식을 하고 있다. 국가 현안(懸案)에 대한 성실한 답변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마이동풍, 강 너머 불구경이고 심지어 비아냥도 심하다. 굶어서 얼어 죽든 말든 알아서 하라는 태도다. 정부 여당이든 청와대든 우리 75년 헌정사 중 이런 경우는 처음 본다. 많은 사람들이 징그럽게 싫어하던 전두환 시절에도 이러지는 않았다.





경청한다는 것은 남의 말을 귀담아듣는 것이다. 자기 주장만을 앞세우는 것이 아니라 먼저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이다. 그것도 건성건성 듣는 게 아니라 관심을 가지고 듣는 것이다. 한자 풀이로 ‘듣는다’는 의미의 청(聽)은 ‘왕의 귀(耳+王)로 듣고, 열 개의 눈(十+目)으로 보고, 하나의 마음(一+心)으로 대하고 듣는다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왕의 귀로 듣고, 열 개의 눈으로 보고, 하나의 마음으로 대할 줄 아는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경청(傾聽)에 대해서는 여러 말 들이 있다. 1단계 무시하기 / 2단계 - 듣는 척 하기 / 3단계 - 선택적 듣기 / 4단계 - 귀 기울여 듣기 / 5단계 - 자신을 중심에 두고 공감적 경청 등등…많은 단계가 있다고 한다. 동서양의 고전 설화라 할 수 있는 ‘솔로몬의 지혜’나 ‘탈무드’ 또는 공맹(孔孟)의 어록에서도 ‘듣는 마음’을 곧 경청(傾聽)이라 했고, 그래서 경청(傾聽)이라 하면 다시 말해, ‘귀를 기울여 남의 얘기를 듣는 것’이라고 말한다. 듣는다는 것은 상대의 호감을 얻을 수 있고 어려움을 해결하는 열쇠일 뿐만 아니라 사람 됨 됨을 상대에게 보이고 알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의 반대 어휘로 ‘딴청’이라고 한다는데, 이는 동문서답(東問西答)을 말한다. 나는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데 상대방은 딴 생각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래서는 대화(對話)가 안 된다. 물론 소통(疏通)도 안 된다. 아니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안 된다. 의미공유(意味共有)가 안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적인 ‘소리의 경청(傾聽)’보다는 우리 모두는 서로 간에 말하지 못하는 ‘침묵의 말’과 억눌러 놓았던 ‘내면의 소리’, 무심했던 이웃의 ‘신음소리’와 천리(天理)를 이르는 ‘하늘과 자연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진실을 듣고자’ 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대통령의 불통은 이미 소문이 나있다. 주변과는 물론 국민과의 소통이 안 된다는 것은 하루 이틀이 아니다. 여당과는 물론이고 집권층 내부와도.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대화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화하지 않으니 소통이 안 되는 것이고 정부 각 부처간의 정보공유도 안 되는 것이다. ‘어전회의’에서 대통령의 생각이 곧 ‘법’이니 아랫사람이 감히 거기다 토를 달 엄두가 안 날 것이다. 그래서는 각료나 참모들이 죄 지당대신(至當大臣)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체이탈(遺體離脫) 어법(語法)이 횡행하고 유언비어(流言蜚語)가 난무(亂舞)하며 온 나라가 우왕좌왕하게 되는 것이다.





대통령은 혹 ‘내가 짐(朕)’이라는 권위의식을 가진 때문일까? 만약 그렇다면 턱도 없는 착각이다. 권위(權威)는 당연히 지켜져야 하지만, 이는 스스로가 만들어야 한다. 최소한 현안을 올바르게 분석하여 옳고 그름을 올바르게 판단해야 한다. 대통령의 권위는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금 좌파정권은 과거의 것을 가지고 지금을 재단(裁斷)하고 재량(裁量)하려 한다. 그래서 뒷북을 친다.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무섭게 변해 가는데 이를 따라잡지 못하니 무리수를 둘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공직(公職)에 있는 사람들은 이러지 말아야 한다. 사명감을 지녀야 한다. 먼저 국익(國益)과 공익(公益)을 생각해야 하며 당리당략(黨利黨略)을 앞세우고 ‘나’를 앞세워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다. 정권이 바뀐 이후, 소위 보수든 진보든 우리 사회의 내로라하는 인사들과, 정권에 발맞추는 명색의 언론들이 일제히 ‘국민의 소리 듣기’ 경청(傾聽)를 거부(?)하고 있다. 그냥 패거리 문화를 형성하여 모처럼 담론(談論)의 장(章)이 펼쳐지더라도 그저 현학(玄學)적인 아리송한 표현들로 말장난 같은 ‘딴청’들만 한다. 아무리 말로 ‘펭끼’ 칠을 해도 ‘사실’이 ‘거짓’으로 덮어질 수 없음을 본인들도 잘 알면서 마치 ‘아무나 말 잔치’를 벌이는 모양새라 참 딱해 보일 때가 너무 많다.





정말 경청(傾聽)이 잘 이뤄지면 어려운 일에 고민하거나 수고하지 않고 쉽게 공동의 답으로 풀 수 있는데….왜 그것이 어려울까 안타깝다. 주변의 간언을 잘 들을 줄 알고, 누가 어떠한 비난을 해 와도, 그것이 옳은 말이고 자신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 경청(傾聽)의 자세다. 상대가 언짢고 귀 따가운 얘기를 할라치면 그냥 귀를 막는 사회는 절대 발전할 수 없다. 지금부터라도 연습하자. 옛말에 ‘죽을 때 철이 난다’고 말했듯이 모두가 누구나 열심히 ‘듣는 연습’을 하자. 그래서 죽기 전에 철이 드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





손용상 논설위원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이게 나라냐?” 대나무 밭이 들어가 하루 종일 소리 지르고 싶은 요즘이다. 진보의 아이콘으로 활약(?)했던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마저도 이 정권에 대해서 정말 모지락스럽게 칼을 들이대고 있다. 마치 무슨 무협지나 50년대의 서부 영화를 되돌려 읽고 보는 것 같다.…
    2020-01-31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내일(1월25일)이 ‘설날’이다. 우리 사람들은 보통 태양력 새해를 맞으면 어느 정도 기분이 들뜬다. 그러다가 잠깐 그 기분이 가라앉을 만하면 또 다시 월력(月曆)의 새해, 즉 고유 명절인 ‘설날’이 기다리고 있어 다시 한 번…
    2020-01-24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지켜보았다.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 일이 혹시나 있을까 싶어 채널을 돌리지 않았다. 역시나 결과는 아무 것도 없었다. 모든 분야에서 얘기 자체가 현실의 국민 생각과는 전혀 다른 화법이었다. 참 화도 나고 황당했기에, 그 얘긴 접어두고 다…
    2020-01-17 
    “조지 워싱턴대, 조국 부부 아들 대리시험은 부정 … 자체 조사” 최근 이런 기사가 나왔다. 근간 조국(曺國) 전 법무장관이 전격 기소되면서 공소장에 12가지 죄목이 적시되었다. 가장 ‘경악’할 것은 그의 아들 조모 씨에 관한 부정 대리시험 사건이었다. 공소장에 따르…
    2020-01-10 
    “지난 해 애 쓰셨네. 삶이란 수많은 처음을 만들어가는 시작(始作)의 연속이라네. 새해에는 좀 더 ’새로운 처음’이 되시길 바라네” 연말 연시가 되자 가끔 내 블로그 글을 읽고 비아냥도 서슴지 않던, 명색 ’진보연’ 하는 한국 친구 두 녀석이 송구영신 메시지…
    2020-01-03 
    올해의 막달, 금주가 지나면 새해가 됩니다. 잘 익은 실과(實果) 한 톨도 챙기지 못하고 또 한 해를 접으며 1년이라는 상자에 담아 놓았던 마음의 일기장을 새로이 펼쳐 봅니다.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대다수가 나름대로 늘 정신 없이 달려 왔다고 합니다. 시간…
    2019-12-27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대학 교수들이 뽑은 '2019년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로 공명지조(共命之鳥)가 선정됐다고 한다. 공명조(共命鳥)는 ‘아미타경’(阿彌陀經) 등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하나의 몸통에 두 개의 머리를 가진 새를 일컫는다고 한다.…
    2019-12-20 
    손용상 논설위원 요즘 모국 소식을 듣다 보면 그곳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이 정말 ‘막장’ 드라마를 보는 느낌이다. 아직도 임기가 절반이나 남은 문재인 정부에서 때 이르게 그런 낌새를 보다니 황당하기가 그지없다. 이 해의 막달에 정권의 막장도 함께 오는 게 아닐…
    2019-12-13 
    뉴턴의 운동법칙(Newton's laws of motion) 중 하나에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 있습니다. 주지하다시피 이는 모든 작용에 대하여 항상 방향이 반대이고, 크기가 같은 반작용이 뒤따른다는 것이지요. 모든 물체가 잡아당기는 작용을 가하면 되돌아가려는 반작…
    2019-12-06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려는 미덕(?)이 없어진 것 같다. 언론 보도를 보거나 가끔 개인적으로 사람을 만나 세상 얘기를 하다 보면 왠지 ‘대화’가 없다. 상대방의 말에 대해 전혀 들어보려는 생각도 없이 논리도 안 맞는 자기주장(主張)만 앞세우는 …
    2019-11-29 
    속담(俗談)에 ‘독 속의 게’라는 말이 있다. 말인즉, 독 속에 게를 풀어놓으면 먼저 밖으로 기어 나오려고 서로 물고 늘어져 발버둥 치다가 결국 한 마리도 빠져 나오지 못하고 다 죽는다는 얘기다. 한국인의 가장 나쁜 습성을 지적한 뼈아픈 풍자였다. 영국 속담엔 ‘부자…
    2019-11-22 
    지난 주가 입동(立冬)이었다. 겨울의 문턱에 들어섰다는 절기(節氣)의 알림이었다. 산책길에서 코끝에 스치는 바람 냄새가 싸늘하다. 지난 밤엔 기온이 첫 영하가 되었다. 가을도 다 갔다는 얘기다. 엊그제만 해도 이 더위가 언제 물러갈까 싶었는데 어느덧 이파리가 누렇게 …
    2019-11-15 
    “정말 모르고 하는 소리인가, 알고도 저러는가?”…. 요즘 대한민국의 귀 뚫린 국민들이 이구동성 하는 말이다. 문재인 정부 2년 반 동안 벌어진 안보(安保) 참사는 말할 것도 없고, 참혹한 경제 참사는 이제 임계점에 이르렀다고 한다. 성장률, 투자, 소비에서 수…
    2019-11-08 
    손용상 논설위원 "나 왜 이렇게 눈물 날 것 같지"….1970년대 한국 문단의 기린아(麒麟兒)였던 소설가 최인호의 감성적인 소설 얘기가 아니다. 전교조 교사들의 정치 선동에 참다못해 들고일어난, 서울 관악구 인헌고등학교 재학생들이 만든 ‘학…
    2019-11-01 
    70년대 중반 김지하 시인은 ‘1974년 1월’이란 시를 발표했다. 이 시는 박정희의 10월 유신에 저항하고 그 부산물인 긴급조치에 항전하는 의지를 담은 절규였다. 그 시의 전문을 소개하면 이렇다. 1974년 1월을 죽음이라 부르자 / 오후의 거리, 방송을 듣고 사라…
    2019-09-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