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대한민국 인권’ … 어쩌다 미 의회 청문회에서까지 성토되었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598회 작성일 21-04-23 10:42

본문

지난 15일 미 하원의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가 사상 처음 ‘한국 인권’을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다. 

여기에 한국의 이인호(서울대 명예교수/러시아 전공) 전 주 러시아대사가 증인으로 채택되어 증언대에 섰다.

이 전 대사는 이 청문회에서 대한민국은 “문재인 집권 후 포퓰리즘 전체주의 국가로 전락함으로써 국가와 국민의 생존 위협을 당하고” 있다고 증언해 국제적인 관심을 모았다. 

 

이인호 전 주러시아 대사는 문재인 정부의 대의 민주주의가 허울뿐이라며 “민주주의의 절차적 규범은 폐기됐고, 이는 안보와 정치, 경제, 사회적 방향으로부터의 예상치 못한 타격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킨다”고 말했다.

 

이 전 대사는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의 시민으로서 우리 조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인 친절한 미국이 먼저 이 문제를 주제로 채택했다는 것에 깊은 고통과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심정을 토로했다. 말하자면 한국인으로서 미 의회에서 처음으로 ‘한국의 인권 상황’에 대해 비판적인 증언을 해야 하는 개인적 딜레마와 고통을 솔직하게 토로한 것이었다. 

 

다음은 이 날 이인호 전 대사의 증언을 번역한 내용 중 몇 가지 핵심 주요 사항을 발췌, 요약한 것이다.  

 

◦…이 전 대사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은 정상적 정권교체 아닌 혁명적 쿠데타”이며 “촛불시위의 결과는 대한민국이 1948년 반 공산 자유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탄생하고, 여전히 그러한 국가로 존재한다는 역사적 사실을 공개적으로 부인하는 남자에게 최고 권력을 넘겨준 것”이라며 과감하게 역사적 진실을 밝혔다. 그는 조국 전 법무부장관 임명으로 인해 일반 대중들이 문재인 정권에 대해 크게 실망한 것, 그리고 문재인 집권 4년 간 거세게 휘몰아쳤던 적폐청산의 광기와, 임종석과 같은 극좌세력들의 정권 중심부를 장악하여 저질러온 언론통제, 사법부 장악, 친북 친중 행보, 대기업 압박, 사회분열, 코로나 팬데믹을 이용한 반정부 시위 억압 등을 집약적으로 묘사했다. 

◦…이어 지난해 4.15총선에서 대승을 거둔 뒤 더욱 과감해진 문 정권과 집권 여당은 ‘반 자유주의 이데올로기 색채’와 일당독재의 전형인 오만함을 공개적으로 과시하고 대북전단금지법과 5.18특별법, 공수처 법 등 국민의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들을 줄줄이 통과시킨 것을 기술했다. 특히 대북전단금지법은 “탈북민들을 포함해 북한주민들의 생사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 할지라도, 김정은의 뜻에 반대되는 것은 어떤 일도 하지 않겠다는 문재인의 결심을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5.18 특별법에 대해서는 “정치적 토론의 자유뿐만 아니라 학문의 자유에 내려진 사형선고에 버금간다”고 꼬집었다. 

 

◦…이인호 전 대사는 현재의 문재인 정권을 ‘포퓰리즘적 전체주의’로 규정하면서 지난 4.7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현 집권층은 그들의 국가 장악 노력을 두 배로 증가시킬 것이며, 준 사회주의 일당 독재체제를 강화하고 북한과 중국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계속해서 새로운 법을 만들 것”으로 예견했다.

◦…그는 자유가 억압되고 인권이 말살되는 것은 “미얀마의 경우처럼 군복을 입은 사람에 의해 자유와 민주주의가 위협을 받을 때는 그 위협을 인식하기가 쉽지만, 민주화 투사의 망토를 입은 사람들에 의해 선동되었을 때는 그 위협을 찾고 예상하기가 훨씬 어렵다”며 “미국이 지난 많은 세월 동안 그토록 비싼 대가를 지불하고 길러왔던 ‘자유’라는 꽃이 적들의 지배 아래 떨어진다면 우리 조국뿐만 아니라 미국에게도 재앙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이에 대해 지지자들은 이 전 대사의 이날 증언은 ‘위기에 빠진 조국을 구하기 위해 개인에게 쏟아질 비난과 중상모략조차 감수한 노학자의 절규’로 들렸다고 하며 많은 댓글을 달았다. 

 

미주의 우리 모든 동포님들은 이제 꼭 귀 기울여야 한다. 부디 이 증언록 한 번 읽어보시고 우리가 앞으로 ‘내 조국’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새삼 마음을 다잡아 주시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싶다. * 

 

*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손용상 논설위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한국의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의 최종 인선이 최근 마무리되었다.4명의 최종 후보로는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 배성범 법무연수원 원장, 조남관 대검찰청 차장검사, 그리고 구본선 광주고검장이 선정되었다.그동안 유력한 차기 검찰총장으로 회자되었던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은 최종…
    2021-04-30 
    지난 15일 미 하원의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가 사상 처음 ‘한국 인권’을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다.여기에 한국의 이인호(서울대 명예교수/러시아 전공) 전 주 러시아대사가 증인으로 채택되어 증언대에 섰다.이 전 대사는 이 청문회에서 대한민국은 “문재인 집권 …
    2021-04-23 
    지난 4월7일 한국의 서울 부산 보궐선거가 끝나자 여러 외신들이 이번 선거 결과에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참 예사롭지 않은 일이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보수세력이 힘을 얻게 됐다”고 했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문 대통령이 국정 동력을 상실하게 됐다”고 썼다. 특히…
    2021-04-16 
    30년 묵은 ‘그람시(Antonio Gramsci) 전략’ 파쇄가 답이다이번 4.7 서울 부산 보궐선거가 끝났다. 투표 마감 후 KBS 등 공중파 방송 3사의 출구 조사에 의하면 야당인 ‘국민의 힘’ 오세훈 박형준이 압도적 승리를 예견했다. 모르긴 해도 아마 본 개표가…
    2021-04-09 
    2017년 5월 10일 문재인 정권이 출범하면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를 화두로 내세웠을 때, 뭔가 좀 찜찜하면서도 그래도 한편으로는 어떤 기대를 가졌었다. 왜냐하면 새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너무 괜찮은 공약과 제법 멋진(?) 국정지표를 내세웠기 때문이었다.…
    2021-04-05 
    과대 망상으로 인한 대규모 총기 사건, 증오범죄에 의한 아시아계 미국인의 희생, 최근 2주간 총기 사건과 관련하여 안타까운 언론 보도가 잇따르며 많은 사람들을 또다시 비탄과 좌절에 빠트렸다.며칠전 콜로라도 볼더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발생하여 또다시 10명의 무고한 인명이…
    2021-03-26 
    요즘 우리 조국은 또 새로운 ‘불공정’이 불거져 나와 온 나라가 또 한 번 시끄럽다. 소위 LH(한국토지주택개발공사) 임직원들의 셀프 토지투기사건이 터지자 ‘내 집 마련’의 꿈을 송두리째 사기 당한 대다수 중산층 동포들의 가슴에 분노의 불이 붙고 있다. 해외동포들도 남…
    2021-03-19 
    ​3월4일 윤석열이 검찰총장직을 사퇴한 직후 차기 대선 적합도에서 단숨에 선두에 올랐다. 5일에서 8일까지의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리얼미터 등 3군데 기관에서 조사한 여론조사 통계 결과였다. 윤석열은 전부 28%에서 32.4%로 이재명 이낙연 등을 따돌리고 수…
    2021-03-12 
    데카메론은 14세기 말 이탈리아 피렌체의 소설가인 보카치오(Giovanni Boccaccio)가 쓴 당시 페스트(흑사병)에 대한 기록들이라 한다. 자료에 따르면, ‘데카메론’은 흑사병을 피해 모인 남성 3명과 여성 7명이 들려주는 1백 개의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당시 …
    2021-03-05 
    불행하게도 지난 주에 텍사스에서 대규모 정전이라는 비극적 사태가 발생했다. 정전 사태가 텍사스 지역 방송국 뿐만 아니라 미국내 유력 방송국의 메인 뉴스로 등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며칠 동안 정전과 단수로 인해 고통받았으며, 심지어는 추위로 인해 집안에서 목숨을 잃는 비…
    2021-02-26 
    지난 주 포트워스에서는 한파로 130 여대의 자동차 추돌로 참사가 일어나 7명 사망, 70여 명이 부상을 입는 대형사고가 발생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캐나다 북쪽에서 북극의 한냉 폴라 볼텍스(polar vortex/극 소용돌이)를 가두었던 제트기류가 힘이 빠져 북극…
    2021-02-19 
    2월12일은 월력(月曆/음력) 1월 1일로 우리 고유명절인 ‘설날’이다. 설날은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첫날을 일컫는다. 올해는 십간십이지(十干十二支)상의 신축년(辛丑年) 소띠의 해이다. 한 해를 소처럼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라는 의미랄까… 그래서 고래(古來)로부…
    2021-02-12 
    문재인 정권이 들어서고 맨 먼저 거론되었던 것이 경주 ‘월성 원전1호기 폐쇄’와 ‘4대강 보(洑) 해체’였다. 그 중에서도 월성 원전 1호기 폐쇄는 특별한 이유를 찾기가 어려웠다.당시 세간의 비판이 거세지자 문 정권은 이를 두고 세계적인 ‘친 환경’ 추세에 부응하는 정…
    2021-02-05 
    바이든 대통령의 임기가 지난 1월 20일부터 시작되면서 미국정치가 상당히 안정화되는 느낌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불복과 지지자들의 의사당 난입, 그리고 이어지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하원의 2차 탄핵 발의에 이르기까지 “정치의 시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
    2021-01-29 
    며칠 전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보았다. 바로 앞에 두 군데 프롬프터를 설치해놓고 시종일관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했다.그의 시선은 국민을 바라보고 있지 않았다. 국가의 안보 경제 외교 사회 등의 주요 현안에 대한 답변은 여전히 소신도 없었고 아니면 유체이탈 화법…
    2021-01-22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