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경청(傾聽)은 없고 ‘딴청’만 난무하는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840회 작성일 19-11-29 09:42

본문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려는 미덕(?)이 없어진 것 같다. 언론 보도를 보거나 가끔 개인적으로 사람을 만나 세상 얘기를 하다 보면 왠지 ‘대화’가 없다. 상대방의 말에 대해 전혀 들어보려는 생각도 없이 논리도 안 맞는 자기주장(主張)만 앞세우는 경우를 자주 본다. 완전히 딴 세상에 사는 사람 같아 황당해지기도 한다. 특히 이 정부의 집권층들이 그 전형이다.





이 나라 제1야당 대표가 목숨을 담보하고 영하의 날씨 속에서 일주일째 노숙 단식을 하고 있다. 국가 현안(懸案)에 대한 성실한 답변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가 마이동풍, 강 너머 불구경이고 심지어 비아냥도 심하다. 굶어서 얼어 죽든 말든 알아서 하라는 태도다. 정부 여당이든 청와대든 우리 75년 헌정사 중 이런 경우는 처음 본다. 많은 사람들이 징그럽게 싫어하던 전두환 시절에도 이러지는 않았다.





경청한다는 것은 남의 말을 귀담아듣는 것이다. 자기 주장만을 앞세우는 것이 아니라 먼저 상대방의 말을 듣는 것이다. 그것도 건성건성 듣는 게 아니라 관심을 가지고 듣는 것이다. 한자 풀이로 ‘듣는다’는 의미의 청(聽)은 ‘왕의 귀(耳+王)로 듣고, 열 개의 눈(十+目)으로 보고, 하나의 마음(一+心)으로 대하고 듣는다는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왕의 귀로 듣고, 열 개의 눈으로 보고, 하나의 마음으로 대할 줄 아는 사람은 그리 흔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경청(傾聽)에 대해서는 여러 말 들이 있다. 1단계 무시하기 / 2단계 - 듣는 척 하기 / 3단계 - 선택적 듣기 / 4단계 - 귀 기울여 듣기 / 5단계 - 자신을 중심에 두고 공감적 경청 등등…많은 단계가 있다고 한다. 동서양의 고전 설화라 할 수 있는 ‘솔로몬의 지혜’나 ‘탈무드’ 또는 공맹(孔孟)의 어록에서도 ‘듣는 마음’을 곧 경청(傾聽)이라 했고, 그래서 경청(傾聽)이라 하면 다시 말해, ‘귀를 기울여 남의 얘기를 듣는 것’이라고 말한다. 듣는다는 것은 상대의 호감을 얻을 수 있고 어려움을 해결하는 열쇠일 뿐만 아니라 사람 됨 됨을 상대에게 보이고 알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의 반대 어휘로 ‘딴청’이라고 한다는데, 이는 동문서답(東問西答)을 말한다. 나는 열심히 설명하고 있는데 상대방은 딴 생각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래서는 대화(對話)가 안 된다. 물론 소통(疏通)도 안 된다. 아니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안 된다. 의미공유(意味共有)가 안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적인 ‘소리의 경청(傾聽)’보다는 우리 모두는 서로 간에 말하지 못하는 ‘침묵의 말’과 억눌러 놓았던 ‘내면의 소리’, 무심했던 이웃의 ‘신음소리’와 천리(天理)를 이르는 ‘하늘과 자연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진실을 듣고자’ 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대통령의 불통은 이미 소문이 나있다. 주변과는 물론 국민과의 소통이 안 된다는 것은 하루 이틀이 아니다. 여당과는 물론이고 집권층 내부와도. 머리를 맞대고 진지하게 대화하지 않는다고 한다. 대화하지 않으니 소통이 안 되는 것이고 정부 각 부처간의 정보공유도 안 되는 것이다. ‘어전회의’에서 대통령의 생각이 곧 ‘법’이니 아랫사람이 감히 거기다 토를 달 엄두가 안 날 것이다. 그래서는 각료나 참모들이 죄 지당대신(至當大臣)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체이탈(遺體離脫) 어법(語法)이 횡행하고 유언비어(流言蜚語)가 난무(亂舞)하며 온 나라가 우왕좌왕하게 되는 것이다.





대통령은 혹 ‘내가 짐(朕)’이라는 권위의식을 가진 때문일까? 만약 그렇다면 턱도 없는 착각이다. 권위(權威)는 당연히 지켜져야 하지만, 이는 스스로가 만들어야 한다. 최소한 현안을 올바르게 분석하여 옳고 그름을 올바르게 판단해야 한다. 대통령의 권위는 저절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금 좌파정권은 과거의 것을 가지고 지금을 재단(裁斷)하고 재량(裁量)하려 한다. 그래서 뒷북을 친다.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무섭게 변해 가는데 이를 따라잡지 못하니 무리수를 둘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공직(公職)에 있는 사람들은 이러지 말아야 한다. 사명감을 지녀야 한다. 먼저 국익(國益)과 공익(公益)을 생각해야 하며 당리당략(黨利黨略)을 앞세우고 ‘나’를 앞세워서는 안 된다.





뿐만 아니다. 정권이 바뀐 이후, 소위 보수든 진보든 우리 사회의 내로라하는 인사들과, 정권에 발맞추는 명색의 언론들이 일제히 ‘국민의 소리 듣기’ 경청(傾聽)를 거부(?)하고 있다. 그냥 패거리 문화를 형성하여 모처럼 담론(談論)의 장(章)이 펼쳐지더라도 그저 현학(玄學)적인 아리송한 표현들로 말장난 같은 ‘딴청’들만 한다. 아무리 말로 ‘펭끼’ 칠을 해도 ‘사실’이 ‘거짓’으로 덮어질 수 없음을 본인들도 잘 알면서 마치 ‘아무나 말 잔치’를 벌이는 모양새라 참 딱해 보일 때가 너무 많다.





정말 경청(傾聽)이 잘 이뤄지면 어려운 일에 고민하거나 수고하지 않고 쉽게 공동의 답으로 풀 수 있는데….왜 그것이 어려울까 안타깝다. 주변의 간언을 잘 들을 줄 알고, 누가 어떠한 비난을 해 와도, 그것이 옳은 말이고 자신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 그것이 경청(傾聽)의 자세다. 상대가 언짢고 귀 따가운 얘기를 할라치면 그냥 귀를 막는 사회는 절대 발전할 수 없다. 지금부터라도 연습하자. 옛말에 ‘죽을 때 철이 난다’고 말했듯이 모두가 누구나 열심히 ‘듣는 연습’을 하자. 그래서 죽기 전에 철이 드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





손용상 논설위원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언젠가부터 우리 사회에는 남의 말에 귀 기울이려는 미덕(?)이 없어진 것 같다. 언론 보도를 보거나 가끔 개인적으로 사람을 만나 세상 얘기를 하다 보면 왠지 ‘대화’가 없다. 상대방의 말에 대해 전혀 들어보려는 생각도 없이 논리도 안 맞는 자기주장(主張)만 앞세우는 …
    2019-11-29 
    속담(俗談)에 ‘독 속의 게’라는 말이 있다. 말인즉, 독 속에 게를 풀어놓으면 먼저 밖으로 기어 나오려고 서로 물고 늘어져 발버둥 치다가 결국 한 마리도 빠져 나오지 못하고 다 죽는다는 얘기다. 한국인의 가장 나쁜 습성을 지적한 뼈아픈 풍자였다. 영국 속담엔 ‘부자…
    2019-11-22 
    지난 주가 입동(立冬)이었다. 겨울의 문턱에 들어섰다는 절기(節氣)의 알림이었다. 산책길에서 코끝에 스치는 바람 냄새가 싸늘하다. 지난 밤엔 기온이 첫 영하가 되었다. 가을도 다 갔다는 얘기다. 엊그제만 해도 이 더위가 언제 물러갈까 싶었는데 어느덧 이파리가 누렇게 …
    2019-11-15 
    “정말 모르고 하는 소리인가, 알고도 저러는가?”…. 요즘 대한민국의 귀 뚫린 국민들이 이구동성 하는 말이다. 문재인 정부 2년 반 동안 벌어진 안보(安保) 참사는 말할 것도 없고, 참혹한 경제 참사는 이제 임계점에 이르렀다고 한다. 성장률, 투자, 소비에서 수…
    2019-11-08 
    손용상 논설위원 "나 왜 이렇게 눈물 날 것 같지"….1970년대 한국 문단의 기린아(麒麟兒)였던 소설가 최인호의 감성적인 소설 얘기가 아니다. 전교조 교사들의 정치 선동에 참다못해 들고일어난, 서울 관악구 인헌고등학교 재학생들이 만든 ‘학…
    2019-11-01 
    70년대 중반 김지하 시인은 ‘1974년 1월’이란 시를 발표했다. 이 시는 박정희의 10월 유신에 저항하고 그 부산물인 긴급조치에 항전하는 의지를 담은 절규였다. 그 시의 전문을 소개하면 이렇다. 1974년 1월을 죽음이라 부르자 / 오후의 거리, 방송을 듣고 사라…
    2019-09-20 
    근간 서울을 다녀온 사람들은 지금 대한민국은 대충 ‘심심사(3:3:4)’ 비율로 갈라지고 있다고 했다. 첫째 3은 이른바 ‘대깨문+@’세력이고 두 번째 3을 정통 보수 우파라 한다면, 나머지 4쪽에 서는 사람들은 색깔로 보면 ‘회색’이라 할 것이다. 말하자면 ‘중도’라…
    2019-09-13 
    김길수의 이슈 망원경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0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을 전격 경질했다. 사임이니 경질이니 뒤 말은 많지만 취임 1년 6개월 만의 불명예 하차라는 데는 이의가 없어 보인다. 볼턴은 트럼프 행정부내 대표적인 '매파'로 마이크 폼페이오 …
    2019-09-13 
    언젠가 한번 다루었던 얘기지만,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이란 말이 있다. ‘두산 백과’에 따르면, 이는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어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시달리다가 상습적이고 반복적인 거짓말을 일삼으며, 이를 진실로 믿고 행동하게 된다는 일종의…
    2019-09-06 
    8월 23일(木) 전후해 한 인간이 이토록 대한민국을 벌집처럼 들쑤셔놓고, 모든 국민에게 분노와 실망감을 안겨주었던 일이 박근혜 탄핵 때 말고 또 있었던가? 그래서 국민들이 그녀를 밀어내고 문재인에게 나라를 맡겼다. 그는 “특권 없는 사회, 기회는 평등, 과정은 공정,…
    2019-09-03 
    ‘바보들의 행진’은 소설가 고(故) 최인호가 75년도 일간스포츠에 연재했던 장편(掌篇)소설이 원작이다. 철학과생 병태와 불문과생 영자를 주인공으로 80년 초반까지 한국 젊은이들의 꿈과 사랑 그리고 좌절을 그린, 최인호 특유의 재기 넘치는 신문 사설(社說)적 풍자 소설이…
    2019-08-30 
    김길수의 이슈 망원경 지난 7월 11일 한국 대법원은 유승준에 대한 비자발급 거부 처분에 행정절차를 위반한 잘못이 있다며 항소심 재판을 다시 하라고 결정했다. 이같은 대법원의 결정은 지난 2015년 9월 유승준이 LA총영사관에 재외동포 비자(F-4)를 신청했으나 거부…
    2019-08-30 
    지난 주 북한의 조평통(조국평화통일위원회)이 우리 대통령의 8.15 경축사에 맞받아 해괴한 욕설로 우리 대통의 얼굴에 똥물을 덮어씌웠다. 그리고 이어 ‘엿’이나 잡수시라면서 주먹감자로 미사일 두 방을 또 쏘았다. 그런데도 이에 우리 정부나 청기와 집 사람들은 찍소리 한…
    2019-08-23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바보들의 행진’은 소설가 고(故) 최인호가 75년도 일간스포츠에 연재했던 장편(掌篇)소설이 원작이다. 철학과생 병태와 불문과생 영자를 주인공으로 80년 초반까지 한국 젊은이들의 꿈과 사랑 그리고 좌절을 그린, 최인호 특유의 재기 …
    2019-08-16 
    김길수의 이슈 망원경 광복절을 하루 앞둔 지난 14일 저녁. 한 특별한 행사장에서 크리스 이케지리(68세)씨를 만났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실상을 알리는데 앞장서 온 ‘잊혀지지 않는 나비’에서 주최한 세계 위안부의 날 행사장에서 였다. 그는 행사가 이어지는 동안은 물론…
    2019-08-16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