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칼럼

[김미희 시인의 영혼을 위한 세탁소] 또 한 해를 보내면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학 댓글 0건 작성일 24-12-27 11:18

본문

김미희 시인 / 수필가
김미희 시인 / 수필가


 “세월이 유수와 같다.”라는 말이 정말 실감 나게 한 해였다. 2024년도 일주일 정도 남았으니 이제 마무리할 시간이 된 것 같다.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에 발을 맞추다 보니 정신없이 살았다. 얼떨결에 맡아버린 민주평통 간사와 한인회 부회장 직함을 멍에처럼 지고 달려오느라 숨이 턱까지 찰 때가 많았지만, 넘어지지 않고 별 탈 없이 용케도 잘 달려왔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곁에서 함께해준 분들 덕분이다. 살면서 아무 조건 없이 함께 해주는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행운이다. 


참으로 많은 일이 있었다. 1월 1일, 새해 첫날부터 6.25 참전 용사 기념비 참배로 시작해서 11월에 있었던 코리안 페스티벌까지 2024년은 한인사회에 크고 작은 일들이 많았다. 평통 4분기 정기 회의는 12월 초에 마쳤고 이번 주말에 있을 한인회 총회를 끝으로 올 한 해 행사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 많은 자리에서 맡은 일을 하고 나면 정작 먹고사는 일이 남아 밤늦게까지 일을 마치고 들어오는 날이 거의 매일이다시피 했다. 그러다 보니 집안일은 거의 뒷전이 되고 말았다. 어쩌다 쉬는 날에는 지친 몸을 밀린 잠으로 충당하느라 종일 잠에 취해 보내야 했다. 이렇게 사는 게 맞나 싶은 날도 많았다. 일 년을 하루도 쉬지 못하고 달렸으니 가끔 예고도 없이 엉뚱한 데에 탈이 나기도 해 겁이 날 때도 있었다. 하지만, 더 늙기 전에 할 수 있는 일,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은 아주 살 맛 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다른 사람을 위하는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은 나를 위한 일을 하는 것보다 몇 배는 더 행복하다. 매년 느끼는 일이지만, 무숙자들이 하루만큼은 맘껏 먹을 수 있도록 뜨거운 음식을 들고 다니며 인심 좋은 사람이 되어보는 일은 그 누구한테도 양보하고 싶지 않은 기쁜 일이다.


유난히 올해가 바빴다고 느껴진 것은 아마 6월에 경남 고성에서 있었던 디카시학술심포지엄과 9월에 있었던 민주평통 미주해외지역회의 참석차 한국을 두 차례나 다녀와서일지도 모른다. 한 달 정도 집을 비웠으니 그럴 만도 하다. 하지만, 큰 수확도 있었다. 디카시학술심포지엄 참석한 계기로 달라스한인회 주최, 한솔문학 주관으로 제1회 한글날 디카시 공모전을 개최해 코리안페스티벌 본무대에서 시상식을 하고 특별 전시를 했던 일이다. 그러므로 K-Pop, K-Food, K-Culture의 코리안페스티벌에서 처음이라 다소 부족했지만, K-Literature를 더한 코리안페스티벌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공모전은 다음 코리안페스티벌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본다. 그때는 올해와 다르게 응모 대상을 달라스 포트워스에만 제안하지 않고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게 열어놓을 예정이어서 기대가 크다. 


  하지만, 안타까운 변고로 오랜 시간 마음이 아프기도 했다. 1월에 손용상 선생님께서 갑작스레 승천하시고 말았다. 당신은 가끔 우스갯소리로 얼마 남지 않으셨다고 했지만, 그 누구도 그렇게 가실 줄은 몰랐기에 많은 분이 당황했고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었다. 2019년 6월에 한솔문학 창간호를 시작으로 글로벌 문예지로 9호까지 발간하시고 10호 준비 중에 고인이 되신 것이다. 한솔문학을 사장하면 안 된다는 분들의 의견을 모아 10호를 손용상 선생님 추모집으로 엮어 출간하고 십시일반 여러분이 동참해 해가 가기 전에 출판기념회를 조촐하게 마치게 된 것은 올 한 해 내가 한 일 중에 제일 잘한 일이 아닌가 싶어 뿌듯하다. 멀리서 마다치 않고 달려와 주신 분들도 넘치게 후원의 손길을 보태준 분들도 계신다. 앞으로의 행보가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함께해 주시는 분들이 있으니 그리 험하지만은 않을 것으로 믿는다. 그 누구보다 손용상 선생님 곁에서 묵묵히 지켜보시던 사모님께서 출간된 10호를 손 선생님 묘지 위에 올리고 기뻐하실 손 선생님을 떠올리며 눈물 흘리시던 모습은 오랫동안 잊을 수가 없을 것 같다.  


 나름 공을 들여서 한 해를 살았다. 곁에서 늘 함께하는 분들과 좋은 인연으로 이어지길 기원하며 노력했다. 모두의 마음을 헤아리기에는 역부족이었겠지만, 마음만은 늘 한결같이 그러했다. 사랑했고 사랑받았다. 아니 사랑한 것보다 갑절로 받았다. 평생 함께하고 싶은 좋은 친구도 만났고 좋은 선배 후배도 생겼다. 성탄절과 새해 인사가 끊임없이 날아오는 걸 보니 아주 행복하다. 


오늘은 크리스마스이브다. 귀염둥이 우리 손자 녀석이 오는 날이다. 아침 일찍부터 추적추적 내리던 비가 정오가 되면서 천둥까지 동반하여 쏟아붓고 있다. 모처럼 일찍 가게 문을 닫고 집으로 달려갈 참인데, 이제나저제나 올라오겠다는 큰아이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으려니 좀이 쑤신다. 그래도 비가 그치면 오라고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카톡이 왔다. 이제 출발한다는 것이다. 다행히 빗줄기가 많이 순해졌다. 


그동안 아이는 또 많이 자라서 왔다. 빨간 크리스마스 스웨터와 양옆에 주머니가 달린 카고 청바지 차림의 아이는 이제 제법 사내아이티가 났다. 전에 왔을 때와 다르게 쫑알거리는 게 하고 싶은 말도 묻고 싶은 것도 많은가 보다. 할머니 할아버지를 위한 개인기도 준비해 왔다. 벌써 많은 것을 익혔다. 머지않아 말문이 터지면 혼을 쏙 빼놓을 것 같아 벌써 긴장된다. 아이가 올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여전히 난 할머니 노릇이 서툴다. 


할머니 노릇만 서툰 것이 아닐 것이다. 육십 평생을 살았어도 사람들과의 만남에 있어서는 죽는 그날까지 배워야 할 게 많을 것이다. 부족한 것이 많기에 남 탓하기 전에 나를 먼저 돌아보려고 노력한다. 새해에는 더욱 그래야 될 것 같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칼럼 목록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3-28 
    삼월은 메두사의 두 얼굴을 하고 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다, 신들의 질투를 받아 무서운 괴물이 되고 만 메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온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온 만물을 소생케 하고, 생명의 푸른 빛으로 온 세상을 일 깨우지만, 한편으론 예상치 못한 March Madne…
    문학 2025-03-21 
    오전 다섯 시쯤 번쩍이는 섬광과 빗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유리창을 요란하게 때리는 빗줄기 때문에 커튼을 젖히고 밖을 살피기도 무서웠다. 커튼을 살짝 들고 빼꼼히 내다본 풍경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작달비가 쏟아지고 있었고 하늘은 천둥번개로 번쩍였다. 시멘트 바닥에 고…
    문학 2025-03-14 
    큰아이가 가족을 데리고 한국 처가에 다녀오는 동안, 기르던 애완견을 우리 집에 맡기고 갔다. 처음 제안이 나왔을 때 나는 선뜻 허락하지 못했다. 개를 키워본 적도 없고, 개와 가까이할 자신도 없었다. 그런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큰애는 메이플을 맡아달라고 간절하게…
    문학 2025-03-07 
    미주경희사이버대학교동문회 임원방에서 우리도 유명 강사님들을 초청하여 줌강연회를 열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나왔다. 동문은 물론이고, 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도 들을 수 있도록 오픈 강의로 하자고 의견이 모아졌다. 줌강연은 이미 여러 단체에서 하고 있지만, 동문의 화합과 결…
    문학 2025-02-28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2-21 
    언젠가부터 나는 이 곳의 삶이 너무 쓸쓸하거나 백지영의 노래 ‘총맞은 것처럼’에 나오는 가사처럼 가슴이 뻥 뚫려 그 무엇으로도 채울 수가 없을 때면 김치를 담는다. 아무리 둘러봐도 이웃들은 모두 미국인들이고, 보고싶은 아들들이나 친구들은 다들 너무 멀리에 있고, 그럴 …
    문학 2025-02-14 
    아버지 1주기가 다가온다.겨울도 봄도 아닌 2월, 때아닌 따스한 햇살이 우리 가족의 등을 토닥여주던 날, 가족묘 큰아버지 곁에 아버지를 모셔다드리고 돌아왔다. 아버지는 뇌경색으로 삼 년간 거동이 불편했지만, 주간보호센터에도 다니며 그럭저럭 지내셨는데 목욕탕에서 넘어져…
    문학 2025-02-07 
    “이 사진이 좋아? 아니면 이게 나아?” 남편은 컴퓨터 화면을 넘기며 하나하나 사진을 클릭해 보여줍니다. 맘에 드는 걸 고르라며 자꾸 보채는 모습이 참 정겹습니다. 오래전부터 파더스 데이를 가족사진을 찍는 날로 정해두었던 남편이지만, 언제부턴가 그 약속이 흐지부지되었습…
    문학 2025-01-31 
    9년 전, 다운타운에 있는 책방 ‘Deep Vellum’에서 “Blind Date with a Book”이라는 팻말이 붙은 진열대를 처음 보았다. 그곳에 진열된 책들은 누런 소포지로 포장한데다 노끈으로 묶어 놓은 지라 무슨 책이 들었는지 확인할 방도가 없었다. 해시태…
    문학 2025-01-24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1-17 
    크리스마스 연휴부터 새해까지 작은아들이 있는 오스틴에 머물렀다. 가까운 거리이긴 하지만 자주가지는 못했는데, 아이가 일년 여에 걸쳐 지은 새집이 완성되었다 하여 겸사겸사 가게 되었다. 이제 서른 중반에 든 아이는 아직 결혼할 마음이 없어서 인지 집 디자인부터 가 딱 혼…
    문학 2025-01-10 
    친정에 다녀왔다. 아버지는 선물로 들고 간 간식들을 좋아하셨다. 그중 몇 가지는 방으로 가져가 숨겨두셨다. 치매 증세 중 하나인 줄 알았지만, 아버지 방에 옹기종기 모여있는 간식 봉지를 보니 웃음이 나왔다. 언니가 먼저 사다 놓은 간식 옆에 내 선물이 나란히 놓였다.…
    문학 2025-01-03 
    “세월이 유수와 같다.”라는 말이 정말 실감 나게 한 해였다. 2024년도 일주일 정도 남았으니 이제 마무리할 시간이 된 것 같다. 빠르게 지나가는 시간에 발을 맞추다 보니 정신없이 살았다. 얼떨결에 맡아버린 민주평통 간사와 한인회 부회장 직함을 멍에처럼 지고 달려오느…
    문학 2024-12-27 
    모델들이 런웨이에서 워킹을 하다 구두가 벗겨지거나 굽이 부러져 넘어지는 사고는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일반인이었다면 놀라서 주저앉겠지만, 프로는 대처법이 다르다. 평소 까치발을 들고 워킹 연습을 해 온 노하우 덕분일 수도 있겠으나,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자세를…
    문학 2024-12-2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