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W 로컬뉴스
‘오래 머물고 싶은 사무실’, DFW 기업들의 변화
페이지 정보
본문
700개 이상 기업이 확장… 예술·자연·복지시설 결합한 초현대식 캠퍼스 열풍
달라스–포트워스 지역의 기업 사무실이 변하고 있다. 팬데믹 이후 원격근무에서 사무실 복귀로 전환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단순한 업무공간을 넘어 ‘오래 머물고 싶은 오피스’ 로의 혁신 경쟁이 치열하다. 금융·기술 대기업들이 앞다퉈 조성하는 첨단 캠퍼스들은 실리콘밸리나 뉴욕의 고급 오피스를 방불케 하며, 그 안에서 직원들은 커피 한 잔과 함께 자연 속에서 회의하고, 예술작품이 가득한 라운지에서 협업한다.
◆ 프리스코의 신상 오피스, “여기선 일도 놀이도 즐겁다”
프리스코 더 스타(The Star) 지역에 새롭게 문을 연 TIAA(교사연금협회) 의 지역 캠퍼스는 그 대표적인 예다. 15층짜리 타워 안에는 가상 골프장, 탁구대, 포켓볼 테이블이 있는 게임룸과 콤부차와 콜드브루를 즐길 수 있는 라운지가 마련돼 있다. 인턴 그랜트 비버(21)는 “뷰도 멋지고 시설도 최고예요. 동료들과 늘 아홉 번째 층에서 골프 시뮬레이터를 즐겨요”라며 웃었다.
500,000제곱피트 규모의 이 건물은 탄소중립(Net Zero) 설계를 적용했으며, 외부에는 암석정원·퍼팅그린·피클볼 코트가 조성돼 있다. 내부에는 달라스 예술가 헤일리 라이언의 대형 벽화와 살아 있는 식물로 꾸며진 수직정원, 모유 수유실·개인 통화부스·24시간 헬스장까지 갖췄다.
“이 건물은 직원들이 하루 종일 머물러도 불편하지 않도록 설계됐어요.” TIAA의 자산관리 총괄 카이라 제프리스는 “우리는 열심히 일하지만 즐거움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공간이 바로 그 문화를 반영하죠”라고 말했다.
◆ 기업 경쟁력은 ‘공간 디자인’에서 시작된다
달라스 지역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700여 개 기업이 북텍사스 지역으로 확장을했고, 이 중 200곳이 새 본사를 세웠다. 새 사옥의 공통점은 개방성·자연친화·로컬 정체성 이다.
대표적 사례는 도요타(Toyota) 의 플래이노 본사다. 2017년 약 10억 달러를 들여 완공된 이 캠퍼스는 태양광 패널, 약국, 암벽등반장, 텍사스 자생식물 정원까지 포함한다. 도요타 북미 임원 크리스 닐슨은 “커피 줄에서 우연히 마주치는 동료와의 대화가 새로운 아이디어로 이어진다”며 “이런 공간이 협업의 본질을 살린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Goldman Sachs) 가 업타운에 건설 중인 80만 제곱피트 규모의 캠퍼스는 ‘텍사스 하늘의 색과 카티 트레일(Katy Trail) 에서 영감을 얻었다’. 2028년 완공 예정인 이 프로젝트는 옥상 정원과 실내외 공용 공간을 갖춘 5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사옥이 될 예정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ank of America) 역시 클라이드 워렌 공원 옆에 LEED 골드 인증 30층 신사옥을 짓고 있으며, 직원들이 ‘줌 회의 대신 15분 산책 미팅’을 할 수 있도록 옥상 테라스와 스카이 로비를 설계했다.
◆ ‘텍사스 감성’ 입힌 웨스트레이크 캠퍼스
가장 텍사스적인 오피스를 꼽자면 단연 웨스트레이크의 찰스 슈왑(Charles Schwab) 본사다. 힐우드(Hillwood) 개발사가 1990년대 매입한 2,500에이커의 대지를 ‘서부 목장 스타일’로 개발해, 현재는 피델리티(Fidelity)와 딜로이트(Deloitte) 등도 함께 입주해 있다.
슈왑 부사장 글렌 쿠퍼는 “우리는 ‘텍사스다운 동시에 글로벌 기업다운 공간’을 원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캠퍼스 한가운데에는 200년 된 포스트오크 나무가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는 야생화와 호수가 어우러진 자연 풍경이 펼쳐진다.
건물 내부는 미술관을 연상시킨다. 텍사스 작가들의 회화, 창립자 슈왑의 안경이 전시된 미니박물관, 가죽 벤치, 그렉 애벗 주지사의 서명이 담긴 개관 기념패 등 지역적 상징이 곳곳에 배치됐다. 쿠퍼는 “사람들은 자신이 어디서 일하는지에 신경 씁니다. 이런 세부적인 요소들이 직원 만족도를 결정짓죠”라고 말했다.
◆ 일터이자 공동체로
이처럼 달라스-포트워스 지역의 신형 캠퍼스는 ‘복귀를 유도하는 공간’ 으로 자리 잡고 있다. 단순히 근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넘어, 직원의 심리적 안정과 창의적 교류를 위한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프리스코의 TIAA가 그렇고, 웨스트레이크의 슈왑이 그렇다. 대형 은행과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예술과 자연, 건강,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오피스 생태계를 조성하면서, 달라스-포트워스는 이제 미국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도시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직원들이 출근을 기다리게 만드는 공간” — 바로 그것이 오늘날 북텍사스 기업들이 내세우는 새로운 경쟁력이다.
정리 = 김여진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