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리빙] 집 안에서도 싱그러운 허브 가든! 실내에서 키우기 좋은 허브 추천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리빙 댓글 0건 작성일 25-02-14 16:16

본문

집 안에서 손쉽게 키울 수 있는 허브 식물은 인테리어 효과는 물론, 향기로운 분위기와 신선한 요리를 위한 재료까지 제공하는 일석삼조의 선택이다. 햇빛이 많이 들지 않아도 잘 자라고, 관리가 쉬운 허브들은 초보 가드너에게도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는 식물이다. 상쾌한 향기로 공간을 채우고, 필요할 때마다 싱싱한 허브를 수확할 수 있는 실내 허브 가든! 지금부터 키우기 쉬운 허브 식물을 소개한다. 다음의 허브는 모두 관리가 쉽고, 요리와 장식 등 여러 곳에 활용될 수 있다.  



정리=KTN보도편집국




♣바질(Basil)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04_5352.jpg
 

바질은 실내에서 쉽게 키울 수 있는 허브 중 하나로, 일 년 내내 즐길 수 있다. 다양한 향기와 컬러를 체험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바질을 시도해 보라. 또한 바질을 주방 조리대 주변에 배치해 필요한 때에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라. 올바른 관리를 위해 정기적으로 물을 주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사용해 곰팡이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바질 잎은 줄기 윗부분부터 수확해야 한다. 


고수(Cilantro)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16_1505.jpg
 

실내 환경에서 고수는 씨앗에서부터 기를 수 있고, 관리가 쉬우며, 일 년동안 신선하게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침 햇살이 잘 드는 동쪽 창가에 심는 것을 추천하며, 약 30일 이후부터 고수 잎을 수확할 수 있을 것이다. 고수는 주방 가위로 잎을 잘라 수확하는 것이 좋은데, 잎이 찢어지거나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주에서 3주마다 씨앗을 다시 심으면, 신선한 고수를 지속적으로 수확할 수 있다. 


민트(Mint)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27_4132.jpg
 

민트는 씨앗보다는 민트 모종을 구입해 키우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만약 집 정원에 민트가 이미 자라고 있다면, 화분에 옮겨 심어 실내에서 키워 보라. 민트의 성장 기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집안에 민트를 더 많이 키우길 원한다면, 화분을 준비하고 꺾꽂이 또는 삽목으로 신선한 민트를 늘려 보라. 


오레가노(Oregano)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46_0673.jpg
 

실내에서 오레가노를 키우는 방법의 핵심은 남향 또는 서향의 창가에 배치해 충분한 양의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겨울철에는 오레가노를 실내로 옮겨 키우는 것이 효과적이고, 정원에서 기른 모종을 가져오는 방법도 좋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레가노는 과도한 습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토양 표면이 마를 때에만 물을 줘야 한다. 또한 오레가노는 줄기가 최소 10센티미터 이상 자란 이후부터 요리에 사용할 잔가지를 얻을 수 있다. 


파슬리(Parsley)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58_7689.jpg
 

파슬리는 화분에서 기르기 쉽고, 창가 주변에서 배치하면 된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파슬리가 충분히 양의 직사광선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정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파슬리는 성장 속도가 비교적 느려 완전한 성장까지 약 14주가량이 소요된다. 따라서 겨울 동안 파슬리가 수확할 수 있는 크기로 자라길 한다면, 여름말에서 초가을 사이에 파슬리 씨앗을 화분에 심어 실내에서 키우기 시작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파슬리 잎은 자주 수확해 줄수록 더 많은 어린잎을 키워낼 수 있다. 많은 양의 파슬리를 얻길 원한다면, 매달 또는 두 달에 한 번씩 새로운 파슬리를 키우는 것이 좋다. 


로즈메리(Rosemary)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70_6326.jpg
 

실내에서 로즈메리 키우기를 시작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블루 보이(Blue Boy)와 같은 실내 환경에 어린 화분 품종을 구입하는 것이다. 정원에 로즈메리가 이미 있다면, 서리가 내리기 전에 줄기를 잘라 겨울 동안 실내에서 키우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화분에 심은 로즈메리는 남향으로 주방 창가에 놓는 것이 좋고, 낮이 짧은 겨울철에는 식물 성장 조명(Grow Light) 아래에서 키우는 것도 좋다. 로즈메리 가지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최소 15센티미터 이상 자랄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줄기 윗부분으로부터 5센티미터에서 7센티미터 길이로 잘라주면, 신선하고 부드러운 줄기를 얻을 수 있다. 


타임(Thyme)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81_8588.jpg
 

향긋한 타임을 실내에서 기르기 위해서는 하루에 최소 6시간에서 8시간의 직사광선을 받을 수 있는 남향 창가에 놓아야 한다. 타임은 가뭄에 강한 식물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은 이후에는 많은 양의 물을 주는 것에 대해 걱정은 덜 수 있다. 

타임을 수확할 때에는 한 번에 줄기 높이의 절반 이상을 자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수확 후에는 최소 12센티미터 이상의 줄기와 녹색 잎을 남겨두는 것이 좋다. 


부추(Chives)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393_2597.jpg
 

부추는 실내에서 기르면 일 년 내내 쉽고 편리하게 즐길 수 있다. 부추를 기를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정원에서 기른 모종을 활용하는 것이다. 여름 동안 정원에서 자란 부추 화분을 실내로 가져와 겨울 동안 키워 보라. 

부추는 남향이 드는 창가 주변에서 키우는 것이 좋고, 일일 최소 4시간에서 6시간의 직사광선을 받아야 한다. 요리용 부추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약 15센티미터 높이로 자란 줄기들을 주방 가위로 잘라주면 되고, 식물 바깥쪽에 있는 오래된 잎부터 수확해 사용하면 된다. 


세이지(Sage)

e4e49a762ec649ec8e22f7cdb7147fe8_1739571404_9465.jpg
 

회색빛의 양모같이 부드러운 세이지 잎사귀로 실내 허브 정원에 즐거움을 더해 보라. 세이지는 하루 최소 6시간의 직사광선을 받아야 하고, 남향 또는 서향 창가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세이지는 부드러운 줄기 위로 자란 어린 작은 잎 위주로 수확하는 것이 좋고, 이렇게 수확한 세이지는 음식 속에서 맛과 풍미를 한층 더 끌어올려 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라이프 목록
    공간은 넓어지고, 일상은 더 편리해진다. 최근 주거 트렌드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주방의 확장이다. 단순히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심미성과 실용성을 함께 고려한 인테리어는 집 안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아래 소개하는 다섯 가지…
    리빙 2025-03-28 
    겨울이 지나고 따뜻한 봄이 다가오면서, 집안 분위기를 환기할 시간이다. 무거운 플란넬 시트와 어두운 색감의 소품을 정리하고, 생기 넘치는 컬러와 자연을 담은 인테리어로 공간을 새롭게 꾸며보자.올해 봄, 홈 데코 트렌드는 자연 친화적인 소재, 파스텔 톤, 곡선형 가구, …
    리빙 2025-03-21 
    텍사스의 봄은 채소 재배를 시작하기에 최적의 시기다. 이른 봄부터 심기를 시작하면 다른 지역보다 빠르게 신선한 수확을 즐길 수 있다. 걸프 연안의 온화한 기후부터 서부의 건조한 환경까지,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작물 선택과 재배 전략이 중요하다. 이 가이드는 텍사…
    리빙 2025-03-14 
    아이키아 팍스(IKEA Pax) 옷장 시스템은 뛰어난 유연성과 실용성 덕분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제품이다. 다양한 크기와 내부 수납 옵션을 제공해 공간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무엇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맞춤형 옷장…
    리빙 2025-03-07 
    욕실 디자인은 집 인테리어에서 가장 어려운 공간 중 하나로 손꼽힌다. 욕실 인테리어에서 고려해야 할 실용적인 부분들이 많으며, 재미있고 미적인 요소들 역시 중요하게 고려돼야 한다.욕실 타일만큼 전체 공간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요소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다양한…
    리빙 2025-02-28 
    많은 사람이 옷장을 가득 채운 채 "입을 옷이 없다"고 한탄하지만, 정작 불필요한 물건을 정리하는 일에는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결정 장애’로 인해 버릴지 말지를 고민하다가 결국 그대로 둔 채 넘어가는 경우도 많다.전문가들은 "옷장을 효율적…
    리빙 2025-02-21 
    집 안에서 손쉽게 키울 수 있는 허브 식물은 인테리어 효과는 물론, 향기로운 분위기와 신선한 요리를 위한 재료까지 제공하는 일석삼조의 선택이다. 햇빛이 많이 들지 않아도 잘 자라고, 관리가 쉬운 허브들은 초보 가드너에게도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는 식물이다. 상쾌한 향…
    리빙 2025-02-14 
    친구, 사랑하는 연인, 또는 관심 있는 사람에게 꽃을 선물한다면, 선택한 꽃다발은 꽃에 따라 특별한 메시지를 전하게 된다.많은 사람들이 발렌타인데이에 꽃다발을 선물하며, 특별한 사람들에 대한 사랑과 감사를 표현한다. 꽃은 주로 연인을 위한 로맨틱한 선물로 자주 활용되지…
    리빙 2025-02-07 
    2025년의 주방 트렌드가 궁금한가? 당신의 주방 공간을 변신시킬 최신 스타일을 소개한다.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고려 중이거나 그저 생각 중이든, 아래 소개되는 10가지 트렌드들이 새로운 주방의 변화를 이뤄줄 다양한 영감을 줄 것이다.2025년 가장 인기 있는 주방 트렌…
    리빙 2025-01-31 
    카펫은 바닥을 덮는 단순한 것 그 이상이다. 부드러움과 텍스처,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2025년 카펫 트렌드는 실내에 세련된 분위기와 우아함을 더하게 해준다.공간 전체를 카펫으로 채우는 기법에는 다양한 디자인 옵션이 활용될 수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컬러와 …
    리빙 2025-01-24 
    2025년을 맞아 새로운 페인트 컬러를 추가해 공간에 변화를 주고 싶은가? 페인트 인테리어는 어떤 공간이든 손쉽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방법으로 큰 지출 없이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다. 공간을 재디자인해 특별하고 활기찬 새해를 맞이해보는 것은 어떨까?클래식한 화…
    리빙 2025-01-17 
    새해 첫날은 지킬거나 지키지 못할 수 있는 다짐과 약속들로 가득하다. 또한 긴 연말 홀리데이 시즌의 마무리와 함께 지금은 집을 깨끗하게 청소하기에 좋은 때라 할 수 있다.매달 최소 한 가지씩 추가할 수 있는 청소 습관 및 청소 도움 팁 12가지가 아래에 소개된다.1. …
    리빙 2025-01-10 
    "지속 가능성과 웰빙을 담은 조화로운 디자인"2025년 가장 핫한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로 여러분의 집을 새롭게 변화시킬 준비가 됐는가? 올해는 볼드한 컬러, 지속 가능한 소재, 다목적 가구가 고급스러움을 재정의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홈 데코의…
    리빙 2025-01-03 
    크리스마스 테이블 센터피스 없이는 어떤 홀리데이 모임도 완성될 수 없다. 장식에 쓰고 남은 여분의 크리스마스 그리너리를 모아 홀리데이 테이블을 꾸며 보라. 디너파티의 주인공은 언제나 홈메이드 음식들이 차지하지만, 아름다운 테이블 장식은 어떤 식사 자리도 특별한 기쁨의 …
    리빙 2024-12-20 
    본격적인 홀리데이 시즌이 시작되면서 2024년 크리스마스 장식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심플하고 작은 규모의 페스티벌 분위기를 선호하든, 반대로 화려하고 컬러풀한 스타일의 장식을 좋아하든, 올해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특정한 장식 요소들…
    리빙 2024-12-13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