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칼럼

[백경혜] 친애하는 우리의 스타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학 댓글 0건 조회 54회 작성일 25-05-24 05:51

본문

백경혜 수필가
백경혜 수필가

  가게에 소녀 손님 둘이 들어왔다.

  남미계 십 대 청소년으로 보였다. 물건을 고르고 계산대에 와서는 상기된 표정으로 내게 물었다.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고. 한국이라 하니 저희끼리 마주 보며 ‘역시!’ 하는 눈길을 주고받았다. 어느 도시냐고 묻길래 서울이라 하니 두 손으로 입을 막고 기뻐했다. 그 표정이 귀여워서 나도 같이 웃었다. 한국 문화가 좋아 나까지 친근하게 느껴지나 보다. 

  요새는 한국말로 인사하는 손님이 부쩍 늘었고 제법 소통이 될 만큼 실력을 갖춘 경우도 종종 있다. 한국말을 어찌 아냐고 물으면 대개는 K-pop과 K-drama를 통해 배우게 됐다고 한다. 드라마 내용을 신나게 설명도 하지만, 나는 모르는 것이라 고개만 끄덕끄덕한다. 그들은 청춘이고 나는 먹고살기 바쁜 중년인 것이다. 

  한국 음식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우리 동네 한국 식당엔 외국 손님이 더 많다. 놀랍게도 그들은 거의 모두 젓가락으로 식사한다. 이런 날이 올 줄이야. 내가 미국을 배우는 사이 그들은 한국을 배우고 있다. 


  나도 그 소녀들같이 외국 문화에 열광했던 때가 있었다. ‘딥 퍼플 (Deep Purple)’과 ‘레인보우 (Rainbow)’ 같은 록 밴드를 좋아했는데, 그중에 영국 그룹 ‘퀸 (Queen)’은 나에게 우상이었다. 고등학생이던 언니가 종일 듣던 노래가 「보헤미안 랩소디 (Bohemian Rhapsody)」였다. 그 노래는 아카펠라로 시작하여 발라드로 바뀌었다가 오페라틱 코러스가 이어지고 절정을 지나면 하드 록이 펼쳐졌다. 

  “아, 정신 사나워 못 듣겠네.” 시끄러우니 카세트를 꺼달라고 불평했지만, 언니는 들은 척도 안 했다. 하지만 내 귀는 이상한 그 노래를 흥미롭게 듣고 있었나 보다. 며칠 만에 따라 부르게 된 것이다. 

  “mama mia, mama mia, let me go…” 

  노래는 질리지 않았고 묘하게 마음을 휘감았다. 결국 나는 ‘퀸’의 모든 노래를 좋아하게 되었다. 틈만 나면 ‘퀸’ 노래를 흥얼거렸고 ‘퀸’ 이야기를 했다. 멤버 네 사람은 모두 작곡자이자 뛰어난 연주가였고 퍼포먼스도 훌륭했다. 그들은 유럽의 낯선 청년이 아니라 내 곁에서 숨 쉬는 아이돌이었다. 언젠가 영국에 가서 그들의 공연을 눈앞에서 보고, 어쩌면 리드 보컬 프레디 머큐리와 결혼 할 거라고 했다. 지금 생각하면 황당한 얘기지만, 무모한 꿈도 꾸는 것이 청춘이리라. 


  1991년 프레디 머큐리가 에이즈로 사망했다는 소식은 큰 충격을 주었다. 그에게 시집간다는 소망은 영원한 농담으로 머물게 되었다. 직장 일로 해외를 다닐 때 런던과 뉴욕에 가면 레코드 가게에 들러 퀸 CD를 사 모으는 것이 쏠쏠한 재미였다. 지금도 가끔 그 CD들을 쓰다듬으며 나의 아이돌에게 조용히 경의를 표한다. 지금 살아있다면 70대 노인이겠지만, 그가 무대에 오른다면 나는 틀림없이 영국행 비행기표를 샀을 것이다. 그 기막힌 라이브 공연을 다시 볼 수 없는 것은 무척 슬픈 일이다. 

  

  「Bohemian Rhapsody」를 들으면 누런색 다이얼 전화기가 생각난다. 그 전화기 앞에서 짝사랑 오빠의 연락을 애타게 기다리던 언니의 모습이 떠오른다. 「I want to break free」와 「Save me」를 매일 흥얼거렸던 고3 때 교실이 떠오르기도 한다. 「Love of my life」를 열정적으로 따라 불렀던 중학생 단발머리 내 모습도 소환된다. ‘퀸’은 내 안에 여전히 살아 있는 셈이다. 

  

  2018년 개봉한 프레디 머큐리의 전기 영화 「Bohemian Rhapsody」를 우리 동네 AMC에서 관람했을 때, 라이브 장면마다 관객들이 노래를 따라 불렀다. 극장에선 보기 드문 광경이었다. 함께 노래할 땐 진짜 무대 앞에 앉은 듯 가슴이 벅차 왔다. 관객들은 세월을 뛰어넘고 있었다. 대부분 나 같이 주름진 중년이 되었고 더러는 대머리 아저씨가 되었지만, 우리는 ‘퀸’을 사랑했던 소년, 소녀로 그 자리에 있었다.


  스타를 가지는 것은 추억을 만드는 것이다. 우리의 옛 스타는 캡슐에 싸여 마음속 자판기 같은 곳에 보관된다. 어느 날, 어느 순간, 무심히 눌린 버튼에 그 캡슐이 굴러 나오면 우리는 그 시절 스타와 어린 나를 함께 만나게 된다. 그날의 소리를 듣고, 그때의 풍경을 보게 된다. 심장이 펄펄 뛰던 청춘의 광경은 이젠 색이 바래 더 아름답다. 

  우리 가게에 들러서 K-pop 스타일의 멋진 양말을 사 가는 십 대 아이들은 어떤 추억을 만들고 있을까. 나는 카세트테이프로 외국 스타를 만났지만, 요즘은 영상으로 전 세계 셀럽들을 만나니 눈과 귀가 수집한 정보는 더 큼직한 추억 캡슐을 만들어 주지 않을까. 아마도 BTS와 뉴진스(NewJeans) 같은 한국 스타들도 많은 이에게 그들의 젊은 날을 소환해 줄 것이다. 

  

  아이들을 키우면서는 자식이 나의 스타였던가. 세상 물정에 너무 어두워진 것 같다. 어머니는 트로트 가수 임영웅의 열렬한 팬이다. 어머니에게도 아이돌이 있는 마당에 나도 분발해야겠다. 

  다시 가슴을 뛰게 해 줄 스타를 찾아봐야겠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칼럼 목록
    공학박사박우람서울대 기계공학 학사, 석사미국 Johns Hopkins 대학 기계공학 박사UT Dallas 기계공학과 교수재미한인과학기술다 협회 북텍사스 지부장자녀 교육을 조언해주는 전문가들이 빼놓지 않고 하는 이야기가 있다. 어릴 때 책 읽는 습관을 길러줘야 한다는 것…
    리빙 2025-05-24 
    박운서 CPA는 회계 / 세무전문가이고 관련한 질의는 214-366-3413으로 가능하다.Email :[email protected] Old Denton Rd. #508Carrollton, TX 75007신용평가업체인 무디스가 지난주에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최…
    회계 2025-05-24 
    가게에 소녀 손님 둘이 들어왔다. 남미계 십 대 청소년으로 보였다. 물건을 고르고 계산대에 와서는 상기된 표정으로 내게 물었다.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고. 한국이라 하니 저희끼리 마주 보며 ‘역시!’ 하는 눈길을 주고받았다. 어느 도시냐고 묻길래 서울이라 하니 두 손으…
    문학 2025-05-24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만큼 두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것은 마치 깊이를 알 수 없는 태평양의 망망대해에서 풍랑을 만나 방황하는 것과 같습니다. 존재에 대한 몸부림과 고민을 짊어지고 앞을 알 수 없는 끝없이 넓은 바다를 헤쳐나가고 있노라면 언젠가는 길에 대한 이정표를 만날 수…
    여행 2025-05-24 
    조나단김(Johnathan Kim)-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 졸업- 現 핀테크 기업 실리콘밸리 전략운영 이사대입 입학 준비를 체크리스트처럼 접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높은 GPA, 우수한 시험 점수, 몇 가지 리더십 활동, 그리고 약간의 봉사활동. 이런 요소들은…
    교육 2025-05-24 
    교통사고 시 다양한 경우가 있지만 그 중에 많은 분들이 가장 많이 걱정해하시는 경우인 무보험 또는 뺑소니 차량과의 사고의 경우를 풀어 보려 한다.상대방의 과실로 사고가 났는데 상대방이 보험이 없다면 많은 분들이 당연히 보상을 못 받을 것이라 여기고 포기하는 경우가 허다…
    리빙 2025-05-17 
    법적소송과 EPL보험우리가 미국이라는 나라를 표현할때 흔히 인종의 용광로라는 말과 소송의 천국이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현에 맞게 미국에서는 다양한 민족이 함께 어울려 살고 있고 서로 조화를 이루어 강한 미국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 그 반면에 강력한 …
    리빙 2025-05-17 
    우리가 사는 달라스는 참으로 행복한 도시입니다. 최근에 눈부시도록 발전하는 경제와 더불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를 만날 수 있는 수많은 연주회와 전시회, 그리고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콩쿠르, 엘리자베스 피아노 콩쿠르, 쇼팽 피아노 콩쿠르 등과 더불어 세계 5대 피아노 콩쿠르…
    문학 2025-05-17 
    2025년 5월 8일, 전 세계 13억 가톨릭 신자들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바티칸에서 제267대 교황으로 레오 14세가 선출되었다. 이번 교황 선출과 관련해 종교계 외에도 국제법 및 조세법 전문가들 사이에서 이례적인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바로 레오 14세 교황이 미국…
    회계 2025-05-17 
    엑셀 카이로프로틱김창훈원장Dr. Chang H. KimChiropractor | Excel Chiropracticphone: 469-248-0012email:[email protected] MacArthur Blvd suite 103, Lewis…
    리빙 2025-05-17 
    오월이 되면 눈이 자주 붓는다. 별다른 일이 있는 것도 아닌데 눈물이 잦아진다. 안 좋은 일 때문은 아니다. 생일이 가까워지면서 그리운 얼굴들이 불쑥불쑥 떠오르기 때문이다. 특히 엄마 생각이 많이 난다. 별 시답지 않은 이야기에, 드라마 속 한 줄 대사에, 문득 눈시울…
    문학 2025-05-17 
    크리스틴손,의료인 양성 직업학교, DMS Care Training Center 원장(www.dmscaretraining.com/ 469-605-6035)“의료계 고용 성장률 평균의 2배! 지금 뜨는 직업, Medical Assistant(의료보조)”미국의 의료 시스템은…
    리빙 2025-05-10 
    소중한 유타(Utah) 여행을 무사히 마치고 달라스로 돌아오니 텍사스 5월의 날씨라고 하기엔 아직도 쌀쌀한 텍사스의 이상 기후가 메마른 땅을 흠뻑 적시고 있습니다. 이번 여행에선 유타주의 주도인 솔트 레익 시티(Salt Lake City)에 있는 몰몬 태버내클 합창단(…
    여행 2025-05-10 
    2025년 봄에 발표된 올해 미국 대학 입시(Class of 2029)의 결과는 한마디로 “사상 최저 합격률”과 “고도화된 평가 기준”으로 요약될수 있겠습니다.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상위 20개 대학 대부분이 지원자 수는 증가한 반면, 합격자 수는 줄이거나 유지함으로써 …
    교육 2025-05-10 
    딸이 내게 ‘Pride & Prejudice’라는 영화를 아느냐고 물었다. 제인 오스틴(Jane Austen) 소설을 영화로 제작한 건데, 방영 20주년을 맞아 4월 20일에 재개봉 한다며 핸드폰을 열어 포스터를 보여주었다. ‘오만과 편견’이었다.…
    문학 2025-05-1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