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칼럼

[고대진] 어머니의 메모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학 댓글 0건 조회 335회 작성일 25-06-07 05:51

본문

고대진 작가
고대진 작가

◈ 제주 출신

◈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 에세이집 <순대와 생맥주>



올해 일월 초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아흔일곱 살이셨다. 백 살이 가까워지면서 항상 돌아가실 수 있음을 예상하였지만, 막상 한국에서 온 동생의 전화를 받고 나니 “이번 4월에 가서 뵈려고 비행기표를 다 사 놨는데.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뵐 수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라며 아쉬워했다. 어머니를 모시고 살던 동생 말로는 집에서 당신 방에서 주무시다가 돌아가셨으니 참 평안한 임종을 맞으신 것 같았다. 며칠 전 병자성사도 받으시고 미사도 집에서 하신 뒤라서 보내는 형제들이 모두 평안한 마음으로 보내 드릴 수 있었다.


급히 비행기표를 구해서 서울로 향했다. 장례식 전에는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한국의 추위는 기록적이었지만 동생들이 다 잘 준비해주어 무사히 장례를 마쳤다. 장례 후 어머니의 방을 정리하던 동생이 어머니가 남기신 메모장을 발견했다. 돌아가시기 전까지 매일 메모를 하시며 공부하시던 어머니라 어떤 것을 쓰셨을까 굼금했는데 노트 하나 분량의 메모장 첫 페이지는 “공부는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 신문이나 잡지를 보면서 잘 모르는 단어를 찾으셔서 의미와 해설을 일본어, 영어, 한글로 쓰신 것이 있었다. 칼럼니스트, 테크노크라트(technocrat), 컨소시엄(consortium), 패러다임(paradigm), 마스터플랜(master plan) 등등의 용어를 해설한 것들이었다. 평소에도 잡지나 신문을 읽으시며 모르는 단어를 찾아 쓰시고 공부하시던 어머니를 떠올렸다. 아마도 최근에 일본 잡지 ‘문예춘추’를 읽으시면서 나오는 단어 중 모르는 단어를 써 놓은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어머니는 돌아가실 때까지 역사와 사회 그리고 자신을 공부하려 했다. 우선 모든 것에 호기심이 많으셔서 왜 그러는지 또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셨다. 책을 많이 읽으시며 인간과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려고 하셨던 것 같다. 그러니 지적으로 개을러지려는 자신과 싸우며 공부를 하신 것 같다. 누구에게 보이려는 공부가 아니라 자신과 세계를 알고 싶어 하는 열망이 죽는 날까지 계속 공부하게 만드신 것 아닐까? 


공부(工夫)란 무엇인가? 이명복 교수의 책 <담론>을 보면 한자로 공(工)과 부(夫)는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주체가 사람이라는 뜻으로 농기구로 땅을 파헤쳐 농사를 짓는 일이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공부는 살아가는 그 자체이고 살아가기 위해서 공부를 해야 한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인 세계와 세계 속에 존재하는 나 자신에 대해, 자연과 사회 그리고 역사와 나 자신을 공부해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키우는 것이 공부라고 한다. 


공부는 도를 구한다는 구도(求道)라고도 하는데 道(길)를 구하는 데는 반드시 고행이 전제되고 그 고행의 총화가 공부라고 한다. 즉 공부는 고생 그 자체이고 고생하면 세상을 잘 알게 되고 철도 든다. 어머니의 메모장에 쓰인 ‘공부는 자신과의 싸움이다’도 아마 구도에 대한 고행을 뜻하신 것이 아닌가 한다. 


이명복 교수의 <담론>은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공부는 우리를 가두고 있는 완고한 인식틀을 망치로 깨뜨리는 것에서 시작된다. 고행이 공부가 되기도 하고 방황과 고뇌가 성찰과 각성이 되기도 한다. 공부하지 않는 생명은 없다. 달팽이도 공부한다. 지난여름 폭풍 속에서 세찬 비바람 견디며 열심히 세계를 인식하고 자신을 깨달았을 것이다. 공부는 모든 살아있는 생명체의 존재 형식이다. 


어머니를 생각하면 안도현의 시 <스며드는 것>이 떠오른다. 

“꽃게가 간장 속에/ 반쯤 몸을 담그고 엎드려 있다/ 등판에 간장이 울컥울컥 쏟아질 때/ 꽃게는 뱃속의 알을 껴안으려고/ 꿈틀거리다가 더 낮게/ 더 바닥 쪽으로 웅크렸으리라/ 버둥거렸으리라 버둥거리다가/ 어찌할 수 없어서/ 살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한 때의 어스름을/ 꽃게는 천천히 받아들였으리라/ 껍질이 먹먹해지기 전에/ 가만히 알들에게 말했으리라/ 저녁이야 불 끄고 잘 시간이야”


알을 품고 있는 암게가 알들에게 마지막으로 읊조리는 위안의 말 같이 어머니는 돌아가시며 말씀하시는 것 같다. 공부는 나 자신과의 싸움이다. 그 뒤에는 깨달음이 있단다. 


연암 박지원의 시 <연암에서 돌아가신 형님을 생각하며>를 생각한다. 

“나의 형님 얼굴과 수염은 누구와 닮았었나?/ 돌아가신 아버님 생각날 땐 내 형을 보았지./ 오늘도 형님이 생각나 어디 계신지 보고 싶어/ 의관 갖추고 시냇물 위에 내 모습 비춰보네.“ 


돌아가실 때까지 자식들에게 구도의 길을 보여주신 어머니. 어머니가 생각이 나면 나는 어떡하나? 옆에 있는 누나의 모습을 보나? 내 생각에 비치는 내 모습을 볼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칼럼 목록
    대학 졸업을 앞둔 아들과 여행을 떠났다. 타지 생활 동안 제대로 된 여행 한번 못했던 아들이 이 길 끝에서 어떤 위안을 얻길 바랐다. 졸업식에 맞춰 다른 가족들이 도착하기 전, 며칠을 내어 스모키 마운틴으로 향했다. 굽이진 산길을 따라 올라가자, 모퉁이를 돌 때마다 …
    문학 2025-06-27 
    감격이란, 오직 자기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에 깊이 몰입할 때 찾아오는 강렬한 감정이라고 합니다. 가깝지만 쉽게 닿을 수 없는 것, 눈에 보이지만 손에 넣기 어려운 순간. 특히 스포츠에는 신기록과 우승이라는 뚜렷한 목표가 있어, 감격의 순간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제23…
    문학 2025-06-21 
    지난 5일, 이지원 선생님이 “미주복음방송, 통일의 소리”라는 코너에 남편과 함께 출연해서 우리 책을 소개했다며 단체카톡방에 링크를 올렸다. 궁금해서 ‘바로 듣기’를 클릭했다. 군더더기 없는 화법으로 얼마나 야무지게 말을 잘하시던지, 엄마 미소를 지으며 경청하였다. 2…
    문학 2025-06-13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6-07 
    뇌우를 동반한 소낙비가 아침 내내 격렬하게 내렸다. 최근에 다시 읽기 시작한 장자의 철학 우화 &lt;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gt;와 페퍼민트 차를 가지고 패티오로 나갔다. 작정한 듯 사선을 그으며 내리는 비에, 마음을 빼앗겨, 책은 눈에 들…
    문학 2025-05-31 
    가게에 소녀 손님 둘이 들어왔다. 남미계 십 대 청소년으로 보였다. 물건을 고르고 계산대에 와서는 상기된 표정으로 내게 물었다.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고. 한국이라 하니 저희끼리 마주 보며 ‘역시!’ 하는 눈길을 주고받았다. 어느 도시냐고 묻길래 서울이라 하니 두 손으…
    문학 2025-05-24 
    우리가 사는 달라스는 참으로 행복한 도시입니다. 최근에 눈부시도록 발전하는 경제와 더불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를 만날 수 있는 수많은 연주회와 전시회, 그리고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콩쿠르, 엘리자베스 피아노 콩쿠르, 쇼팽 피아노 콩쿠르 등과 더불어 세계 5대 피아노 콩쿠르…
    문학 2025-05-17 
    오월이 되면 눈이 자주 붓는다. 별다른 일이 있는 것도 아닌데 눈물이 잦아진다. 안 좋은 일 때문은 아니다. 생일이 가까워지면서 그리운 얼굴들이 불쑥불쑥 떠오르기 때문이다. 특히 엄마 생각이 많이 난다. 별 시답지 않은 이야기에, 드라마 속 한 줄 대사에, 문득 눈시울…
    문학 2025-05-17 
    딸이 내게 ‘Pride &amp; Prejudice’라는 영화를 아느냐고 물었다. 제인 오스틴(Jane Austen) 소설을 영화로 제작한 건데, 방영 20주년을 맞아 4월 20일에 재개봉 한다며 핸드폰을 열어 포스터를 보여주었다. ‘오만과 편견’이었다.…
    문학 2025-05-10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5-03 
    -저는 이 십년만에 아틀란타 옷수선 가게를 접고 수원에 정착했어요, 무엇보다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고, 말 때문에 긴장 안 해도 되니 살 것 같네요.-부럽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역이민은 이왕 하려면 빨리 하는 게 나은 것 같아요, 70 넘…
    문학 2025-05-01 
    가게에 물건이 들어와서 며칠간 바빴다. 오랜만에 들여온 거라 양도 많았고 바뀐 계절에 맞춰 디스플레이도 손봐야 해서 할 일이 많았다. 페덱스 아저씨가 커다란 종이 박스 여러 개를 작은 가게에 쌓아놓고 갔다. 목장갑을 끼면서 박스를 쓱 훑어보았다. 십 년 전부터 거래해…
    문학 2025-04-18 
    이불을 머리끝까지 끌어올리고 중얼거린다.“일어나기 싫다. 그냥 이대로… 잠들었으면.”늙어가는 이 나이에 학교 가기 싫어 꾀를 부리는 아이처럼 아직도 월요일 아침마다 이러고 있으니, 나도 참 이상한 아줌마다. 평생을 올빼미처럼 밤에 더 깨어 있는 사람으로 살아왔으니 당연…
    문학 2025-04-11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3-28 
    삼월은 메두사의 두 얼굴을 하고 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다, 신들의 질투를 받아 무서운 괴물이 되고 만 메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온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온 만물을 소생케 하고, 생명의 푸른 빛으로 온 세상을 일 깨우지만, 한편으론 예상치 못한 March Madne…
    문학 2025-03-21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