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세계공용어가 된 ‘내로남불(naeronambul)’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3,699회 작성일 21-04-16 09:58

본문

지난 4월7일 한국의 서울 부산 보궐선거가 끝나자 여러 외신들이 이번 선거 결과에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참 예사롭지 않은 일이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보수세력이 힘을 얻게 됐다”고 했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문 대통령이 국정 동력을 상실하게 됐다”고 썼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미국 뉴욕 타임스와 유명 시사주간지 ‘TIME’,또 로이터 등의 분석 기사였다. 

 

뉴욕타임스는 이 기사에서 “여당 참패는 문 정권 진보 인사들의 위선 때문”이라며 ‘조국’ ‘금수저’ ‘내로남불’ 등을 키워드로 내세웠다. 그리고 지난 2019년 조국 전 법무장관에 대한 여러 의혹이 불거진 것에 대해 “‘특권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 무색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조국 전 장관 딸의 입시 비리 문제를 둘러싸고 “금수저(gold-spoon) 엘리트들이 손쉽게 명문대에 진학하고 편한 직장을 얻는 데에 대중들은 분노했다”며 “반면 흙수저(dirt-spoon) 계층은 경제 불황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 유권자들이 문 정권 측근에게 느끼는 반감을 ‘내로남불(Naeronambul)’이라는 단어로 설명했다. 매체는 이 단어를 “내가 하면 로맨스이고, 다른 사람이 하면 불륜(If they  do it, it’s a romance; if others do it, they call it an extramarital affair)”이라고 해석했다. 

 

주지하다시피 이 ‘내로남불’은 영문 번역 그대로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는 뜻이다. 

한 마디로 더블 스탠다드(doublestandard)라고 하면 될까.  말하자면 “이중잣대”와 같은 의미다. 

 

돌아보면 문재인 정권은 공정과 평등, 정의를 내세우면서도 ‘우리는 예외’라는 위선적 행태로 일관해 그야말로 실제적인 ‘내로남불’ 정권의 상징이 된 것은 사실이다. 

 

사실 이 말은 작년에 한번 공식적으로 매스컴을 탔다. 작년 연말 전국 대학교수 906명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四字成語)’였지만 그때는 그냥 그런가 보다 정도로 지나갔다. 교수들답게 아주 점잖은 표현으로 ‘아시타비 (我是他非)’였는데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라는 뜻이다. 요즘 젊은이들은 ‘내로남불’을 이렇게 한문으로 옮긴 신조어를 잘 이해하지 못해 크게 관심을 끌지 못했을 뿐이었다.  거기다가 그 어휘는 그 동안 사회에서 비속어 범주의 두음문자(acronym)였기에 공식 용어로는 잘 쓰이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번에 뉴욕타임즈에서 서슴없이 세계공용어(?)로 만드는 바람에 이제 아주 터놓고 써도 되는 글로벌 공식언어로 탈바꿈 했다. 창피하게도 대한민국 국격(國格)을 추락시킨 또 하나의 예가 된 것이다. 과거에도 ‘빨리빨리’ ‘재벌’ ‘강남스타일’ 등도 이런 식으로 국제어가 된 적이 있지만, 이번의 이러한 외신 보도들은 우리 대한민국을 마치 부패 국가로 그렸다는 점에서 참 기가 막힐 일이다..

 

하지만 어쩌면 ‘내로남불’은 전 사회적인 현상인지도 모른다. 그들은 “지금은 옳고 그때는 틀리다”라는 멋대로의 상황논리로 변명하지만, 냉정하게 들여다보면 그때나 지금이나 다 옳거나 다 틀렸기가 쉽다. 즉, 서로 분열된 집단 내에서 상대에 대해 동의하거나 이해하는 목소리도, 자기 집단에 대한 반성과 비판의 목소리도 모두 똑같이 받아들이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우리가 지키려는 민주주의의 근간인 다양성, 토론과 합의, 그리고 양보와 협력은 더 이상 가능할 수가 없다. 

 

다만, 우리에게 남은 대안이 있다면, 다소 어렵더라도 19세기 중반 자조론 (自助論 /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을 쓴 영국 학자 샤무엘 스마일즈의 말처럼, 국가를 구성하는 개인들이 생각이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통하여 먼저 이 상황에서 벗어나는 길뿐이다. 그 뿌리가 사회에서 정치로 뻗어나간 것이라면, 그 치유의 출발은 그 사회 내부에서 스스로 시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결자해지(結者解之) 해야 한다는 말이다. 

 

30여 년 전, LA흑인폭동이 일어났을 때의 일이다. 당시 주인공이었던 로드니 킹은 사건 이후 진행된 인종 간의 분노와 혐오, 그리고 좌절을 겪은 후에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우린 다 같이 사이 좋게 지낼 수 있었잖아요?..... 모두가 그의 말을 되새기면 우리 사회의 병폐인 ‘내로남불’ 현상은 자연스럽게 치유될 것이다. *

 

* 본 사설의 논조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손용상 논설위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17일이 제헌절이다. 과거에는 국경일이었지만 지금은 이미 사람들 기억에서도 희미해진, 우리나라 헌법이 제정된 날을 맞아 조국 대한민국을 다시 한 번 돌이켜본다. 우리나라는 ‘백의의 평화 민족, 한 민족’이란 이름으로 오천 년 역사 내내 단 한 번도 남의 나라를 침략해 …
    2021-07-16 
    벌써 한 해의 반을 넘기고 7월도 초순을 넘고 있다. 그러나 지난 6월에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말을 놓치고 말았기에 뒤늦게나마 쓴 소리 한 마디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먼저 지난 6월26일 문재인 대통령의 미 시사주간지 타임지 인터뷰 기사다. 번역 내용을 살펴본즉, 낯…
    2021-07-09 
    맹자 말씀에 “닭이 울면 부지런히 선한 일을 하는 사람은 순(舜)임금의 무리요, 부지런히 내 이익만을 챙기는 사람은 도적의 무리”라고 했다. 그리고 그 둘의 차이는 그들이 행하는 ‘선과 내 이익’ 뿐이고, 성인과 도둑떼를 가르는 기준은 그들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2021-07-02 
    역사적으로 한국 정당의 변화와 혁신은 진보와 보수의 영역을 떠나 야당이 주도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집권세력인 여당은 정권 유지와 재창출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정당의 구조적 변화나 혁신보다는 아무래도 기존의 정당 체제와 운영을 답습하거나 유지하기에 급급한 편이다.반…
    2021-06-25 
    중국 고사(古事)에 채대고축(債臺高築)이란 말이 있다. 내용인즉 이렇다. 중국 주(周)나라 마지막 천자 난왕(赧王)은 무능했다. 그는 국가가 빚을 무서워하지 않고 흥청망청 했다. 그리고 전쟁이 나자 왕은 부호들에게 전쟁 경비를 빌려 싸웠다 그러다 패했다. 돈을 빌려줬던…
    2021-06-18 
    “우리는 악(惡)과 싸워야 한다(We Must Fight The Evil)”지난 주일(6일)이 현충일이었다. 한국적 메모리얼 데이였다. 6.25 전쟁의 비극은 어느덧 우리 기억에서 희미해졌지만, 그래도 역사는 영원히 남아 모두가 그날의 참상을 되살리며 그 끔찍했던 참극…
    2021-06-11 
    근간 언론보도를 보면 문재인 대통령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하자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부는 민둥산 작업을 시작했다고 한다.내용을 챙겨보니, 탄소중립이란 온실가스(이산화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거나 가스를 배출하면 즉시 흡수하여 원래의 자연 상…
    2021-06-04 
    지난 연초였던가, JTBC 뉴스는 “3억 원을 쓰레기로 착각…내다버린 돈 봉투” 얘기를 다루어 시청자들을 입맛 다시게 했다. 연합뉴스나 조선일보 한경 닷컴 등에서도 쓰레기 속의 돈다발에 대한 기사들이 적지 않았다. SNS를 뒤져보니 일본에서도 이런 일이 참 많았다.2년…
    2021-05-21 
    지난 주말, 영화 ‘미나리’와 오스카 조연 여배우 수상자인 윤여정의 언론 인터뷰 기사들은 다시 한 번 찾아 읽어보았다. 아울러 새삼 성경도 다시 뒤적여보았다. 왜냐면 영화 ‘미나리’에 대한 평론가들의 비평이 호.불호가 헛갈려서였다. 그리고 나름의 생각을 정리해보았다.우…
    2021-05-14 
    오는 9일은 ‘어머니 날’이다. 한국에서는 8일이 ‘어버이 날’로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아시다시피 미국에서는 morther’s day 와 fathef’s day가 다르다. 왜일까? 솔직히 나는 그 원인을 잘 모른다. 그냥 미국 사람들이 심심(?)해서 부모를 갈라놓았을…
    2021-05-07 
    한국의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의 최종 인선이 최근 마무리되었다.4명의 최종 후보로는 김오수 전 법무부 차관, 배성범 법무연수원 원장, 조남관 대검찰청 차장검사, 그리고 구본선 광주고검장이 선정되었다.그동안 유력한 차기 검찰총장으로 회자되었던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은 최종…
    2021-04-30 
    지난 15일 미 하원의 초당적 기구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가 사상 처음 ‘한국 인권’을 주제로 청문회를 열었다.여기에 한국의 이인호(서울대 명예교수/러시아 전공) 전 주 러시아대사가 증인으로 채택되어 증언대에 섰다.이 전 대사는 이 청문회에서 대한민국은 “문재인 집권 …
    2021-04-23 
    지난 4월7일 한국의 서울 부산 보궐선거가 끝나자 여러 외신들이 이번 선거 결과에 비상한 관심을 보였다. 참 예사롭지 않은 일이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보수세력이 힘을 얻게 됐다”고 했고, 일본 요미우리 신문은 “문 대통령이 국정 동력을 상실하게 됐다”고 썼다. 특히…
    2021-04-16 
    30년 묵은 ‘그람시(Antonio Gramsci) 전략’ 파쇄가 답이다이번 4.7 서울 부산 보궐선거가 끝났다. 투표 마감 후 KBS 등 공중파 방송 3사의 출구 조사에 의하면 야당인 ‘국민의 힘’ 오세훈 박형준이 압도적 승리를 예견했다. 모르긴 해도 아마 본 개표가…
    2021-04-09 
    2017년 5월 10일 문재인 정권이 출범하면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를 화두로 내세웠을 때, 뭔가 좀 찜찜하면서도 그래도 한편으로는 어떤 기대를 가졌었다. 왜냐하면 새 대통령이 취임식에서 너무 괜찮은 공약과 제법 멋진(?) 국정지표를 내세웠기 때문이었다.…
    2021-04-05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