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데스크칼럼

[기자가 보는 세상]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admin
오피니언 댓글 0건 조회 2,398회 작성일 19-05-31 11:05

본문

데스크 칼럼 – 기자가 보는 세상

얼마전 지인의 어머니 장례식에 다녀왔다. 고인이 자녀들에게 남긴 마지막 말은 “사랑한다”와 “고향에 가고 싶다”였다고 한다.
‘앰뷸런스 소원재단’ (Ambulance Wish Foundation) 이란 곳이 있다. 2007년에 네덜란드에서 설립된 이 재단은 생의 마지막 순간에 거동을 할 수 없는 환자들의 소원을 이뤄주는 민간 봉사단체다. 죽기 전에 꼭 다시 가보고 싶은 곳에 데려다주고, 꼭 만나보고 싶은 사람을 만나게 주선해 준다. 이곳에는 365일 24시간 앰뷸런스 6대와 자원봉사자가 대기한다.

매년 2천 건 정도의 소원이 이곳에 접수된다. 지난 11년간 1만 명이 넘는 말기 환자들이 소원을 이뤘다. 이 재단을 만든 이는 20년간 앰뷸런스 운전사로 일한 키스 벨드보어 (Kees Veldboer)란 사람이다. 벨드보어는 아내, 직장 동료와 함께 말기 환자의 소원을 무료로 실현시켜주는 재단을 설립했다. 재단의 취지와 진정성에 지원과 봉사자가 줄을 이었다. 매년 55만불 정도의 예산이 필요한데 재단 운영은 각지에서 들어오는 기부금으로 해결한다.

죽음을 받아들이고 그날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소원은 무엇이었을까?
의외로 작고 평범한 바람이었다. 가족과 추억이 있던 장소에 가보기, 폐 질환으로 병원에 있던 아버지가 딸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것, 돌고래 보기, 손자와 유원지에 놀러가기, 최고의 식당에서 생선요리 먹기, 좋아하는 팀의 축구경기 보기 같은 것이었다.
평생을 로테르담 동물원에서 일하다 뇌종양에 걸려 죽음을 앞둔 마리오라는 사육사가 있었다. 그는 자신이 돌보던 동물들을 보고 싶어했다. 그가 침대에 실려 기린 우리 앞에 가자 기린 한 마리가 다가와 작별키스를 하듯 입을 부벼댔다. 감동적인 이 사진은 세계 많은 언론에 실렸고 이 재단이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됐다.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이처럼 죽음은 중요하고 핵심적인 문제인데 나는 왜 죽음에 대한 준비와 공부가 안 됐을까?
‘죽음을 기억하라’는 의미인 라틴어 ‘메멘토 모리(Memento mori)’는 ‘결국 너도 죽는다’라는 뜻이다. 이 말을 전쟁에서 승리한 로마의 장군이 개선행진을 할 때 노예를 시켜 행렬 뒤에서 큰 소리로 외치게 했다고 한다. 그건 내가 오늘은 개선장군이지만 나도 언젠가는 죽는다. 교만하지 말고 최선을 다해 살아야 한다는 다짐이라고 한다.
지난 21일, 제이 인슬리 워싱턴 주지사가 시신을 퇴비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신 퇴비화' 관련 법안에 서명하며 미국에서 처음으로 '시신 퇴비화'가 법적으로 허용됐다.

법이 시행되면 워싱턴주에서 사망한 사람의 시신은 풀, 나무와 미생물 등을 활용한 30일 간의 재구성(Composition)과정을 거쳐 정원의 화단이나 텃밭에 쓰이는 흙으로 변할 수 있게 된다.
전통적인 시신 장례 절차와는 너무나 다른 이 같은 접근법에 동의하기 힘든 사람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당장 종교계 등에서 시신 퇴비화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워싱턴주 가톨릭계는 상원에 보낸 서한에서 "유해를 그런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은 시신에 대해 충분한 존중을 보이지 못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인간이라면 누구나, 언젠가는 반드시 맞닥뜨리게 될 죽음. 그 죽음 이후의 모습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 볼 만하다.
죽음은 결국 오늘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그렇다면 삶에 대한 고민도 마땅히 죽음에 대한 성찰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게 아닐까? 삶이 있으니 죽음이 있는 게 아니라, 죽음이 있으니 삶이 있는 게 아닌가!

DKnet
최현준 보도국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데스크칼럼 목록
    작년 가을로 기억한다. 외로움을 국가가 나서서 해소시켜 주겠다는 뉴스를 접했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외로움 대응 전략’(A Strategy for Tackling Loneliness)이란 걸 발표했다. 국가 차원에서 국민들의 외로움을 관리하는 세계 최초의 종합…
    2019-06-07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어제(6일)가 현충일입니다. 언필칭 6월은 ‘보훈(報勳의 달‘이라고 합니다. 이 날을 맞으면 특히 여의도 정치꾼들은 아주 처연한 표정으로 입에 발린 거짓말만 늘어놓습니다. 보훈? 진정성 없는 그 꼴을 보면 솔직히 화가 치밉니다. 왜…
    2019-06-07 
    지난주 KTN은 “DFW 한인사회 양대 축제 실종되나?”라는 커버스토리로 ‘코리안 페스티벌 (Korean Festival)과 코리안 헤리티지나이트 (Korean Heritage Night/한국 문화유산의 밤)‘행사를 앞으로는 할 수가 없게 됐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그…
    2019-05-31 
    데스크 칼럼 – 기자가 보는 세상 얼마전 지인의 어머니 장례식에 다녀왔다. 고인이 자녀들에게 남긴 마지막 말은 “사랑한다”와 “고향에 가고 싶다”였다고 한다. ‘앰뷸런스 소원재단’ (Ambulance Wish Foundation) 이란 곳이 있다. 2007년에 네덜란…
    2019-05-31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보가 날아든지 꼭 10년이 됐다. 23일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추도식에는 많은 정치인들과 시민들이 참석해 노무현을 추모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23일 봉하마을을 찾았다. 부시 전 대통령은 직접 그린 노 전 대통령의 초상화를 권양숙 여사…
    2019-05-24 
    올해도 벌써 반이 흘러가 ‘봄’이 지나가고 있다. 봄은 계절의 여왕이고 가장 눈부신 계절이라 했는데, 어째 대한민국의 봄은 그렇지 않은 느낌이다. 날씨는 화창했지만, 우리 조국의 국내외 대다수 동포들 마음은 그야말로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었다. 되레 앞으로 다가올 무…
    2019-05-24 
    김길수의 ‘이슈 텔레스콥’  미국이 중국과의 불공정 무역거래를 문제삼아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안 카드를 빼 들었다. 미국은 지난 10일을 기해 2천억 달러(약 235조6천억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10%에서 25%로 인상했다. 그러자 그동안…
    2019-05-17 
    우리에게 비교적 친숙한 라틴어 문장이 두 개 있다. 많이 들어봤거나 의미는 알아도 그게 라틴어라는 사실은 몰랐을 수도 있다. 이 두 문장은 드라마, 노래의 제목으로 쓰였거나 영화의 유명한 대사로 등장하면서 알려진 측면이 크다. 바로 이 문장이다. ‘카르페 디엠 (Ca…
    2019-05-17 
    언젠가도 한번 언급했던 일이 있었습니다만, 5월은 언필칭 ‘가정의 달‘이라 합니다. 5일의 어린이날도 있었고 8일의 어버이날, 15일의 스승의 날도 있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5.16군사 혁명, 5.18 광주’사태‘ 등 역사가 얼룩진 날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
    2019-05-17 
    5월10일이면 소위 ‘촛불’ 새 정권이 들어선지 3년차가 된다. 국민들은 정권 초기에는 그래도  행여나 뭔가 새 꿈이 이뤄질 거나 제법 희망을 가졌었다. 그래서 그런지 새 정부가 들어서자 한동안은 온갖 언론에서 뜬금없이 한국몽(韓國夢), 중국몽(中國夢), 미국몽(美國夢…
    2019-05-10 
    가를 밤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늦은 밤, 감 홍시 한 개 앞에 놓고 흔히 있는 전설 같은 옛 ‘이바구’ 한 자락 들어 보십시오!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나오는 '눈앞의 대상에만 집착하지 말라'는 말을 떠 올려 봅니다. 풍연심(風憐心)이란 말로서 “바람은 마음을…
    2019-05-08 
    프레임(frame)이라는 말이 있다. 일반적인 의미로는 ‘창틀’이란 뜻이다. 명사로는 ‘뼈대’ ‘구도’라는 말로도 쓰이고, 동사로는 ‘틀(액자)에 넣다, 테를 두르다’로도 번역한다. 그러나 생각(思惟)의 관점에 따라서는 사안에 대한 해석이 전혀 달라질 수도 있다. 즉 …
    2019-05-06 
    고국 한국에서 연일 유명 연예인들의 마약·성범죄 스캔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혐의는 다르지만 이들의 대응 패턴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구체적인 증거가 나오기 전까지는 자신은 결백하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루머 유포시 법적으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한다. 필자가 한국의…
    2019-05-06 
      손용상 칼럼 / 짧은 글 깊은 생각 DK MEDIA GROUP 출범은 동포사회의 축복(祝福)이다 지난주 금요일, 달라스 정론지(正論紙)인 KTN(Korea Town News)과 미중남부 유일의 한국어 라디오 방송국 DKnet이 전격 합병되어 ‘DK MEDIA G…
    2019-04-30 
      데스크 칼럼 – 기자가 보는 세상   41.21.1… 또 한명의 영웅을 떠나 보내며 백넘버 41,  21년간의 NBA 선수생활, 1 팀에서만 뛴 원 클럽맨 위대한 농구선수 덕 노비츠키 (Dirk Nowitzki). NBA 데뷔 시절부터 응원해온 홈 팬들 앞…
    2019-04-30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