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칼럼

[고대진] 아름다운 첫 문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문학 댓글 0건 조회 130회 작성일 25-05-03 05:13

본문

고대진 작가
고대진 작가

◈ 제주 출신

◈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 에세이집 <순대와 생맥주>



“성근 눈이 내리고 있었다”라고 시작하는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는 읽는 동안 마음에 녹지 않는 성근 눈이 내리게 하다 나중에는 푹푹 내리는 눈 속에 쌓여 몸을 얼게 만들기도 한다. 첫 문장에서부터 독자를 사로잡게 만드는 소설이었다.


나는 소설을 고를 때 처음 몇 쪽을 보고 나서 앞으로 계속 읽을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몇 쪽을 읽을 때까지 독자를 못 잡는 소설이라면 읽을 필요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평론가의 평이 아주 좋은 소설이라면 억지로 참고 20쪽까지는 읽어주지만 더는 아니다. 하지만 어떤 소설은 첫 문장부터 나를 사로잡게 만든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가 그랬다. 그런 소설은 독자를 결코 실망하게 하지 않는다. 내용을 다 기억하지 못해도 첫 문장을 기억하며 감동이 오래 가슴에 남게 한다. 


이런 소설들이 몇 더 있다. 내가 오래 기억하는 인상 깊은 소설의 첫 문장은 이상의 ‘날개’에서 나오는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이다. 중학생 때 이 문장에 반해 소설을 읽었고 이상이란 작가의 작품들을 읽기 시작했다. 내가 마치 ‘박제가 되어버린 천재’가 된 듯하였는데 천재인척 하기에는 난 너무나 평범한 보통 사람이었다. 그래도 오랫동안 그 문장을 생각하며 천재가 못된 박제만을 기억했다.


내가 고등학교 시절 가와바다 야스나리가 노벨상을 받았다. 1968년인 것 같다. 그 때 찾아 읽은 그의 대표작 ‘설국雪国’은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라고 시작한다. “The train came out of the long tunnel into the snow country.”라는 영문 번역이 돋보였던 문장이다. 이어지는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는 문장은 어린 나에게 너무나 인상적이었다. 환상적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아름다운 정경. 눈처럼 차갑고 깨끗한 작품의 전반적인 느낌과 분위기. 나중에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과 함께 원어로 열심히 공부했던 소설이었다. 


알베르트 카뮈의 ‘이방인’의 시작도 아주 인상 깊었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그게 어제였나. 잘 모르겠다.’로 시작하는 이 소설의 주인공 뫼르소는 세상일에 별 관심도 없고 어머니의 죽음마저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듯했다. 이러한 뫼르소의 무감수성은 현대인의 모습을 반영한다고 하는데 대학생 때 나로서는 어떻게 서양사람들은 어머니의 죽음에도 이렇게 차갑게 반응할 수 있을까 하고 놀랄 수밖에 없었다. "나는 불쑥, 말이 조금 섞이고 나도 터무니없다는 것을 알았지만, 그것은 태양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법정에서는 웃음이 일었다.”라며 태양 때문에 사람을 죽였다고 재판정에서 진술하는 주인공의 모습에 황당해 할 수밖에 없었다.


내가 읽은 소설 중 가장 인상적인 시작 문장이 있는 소설은 찰스 디킨스의 ‘두 도시 이야기’이다. 영어 공부도 할 겸 시작한 책이었는데 그 첫 쪽이 나를 사로잡고 말았다. 프랑스 혁명 당시의 격동적 사회를 이렇게 잘 표현할 수가 있나 해서. "It was the best of times, it was the worst of times,....(그때는 최고의 시절이었고, 그때는 최악의 시절이었다,…)”라고 긴 첫 문장이 시작된다. 프랑스 혁명 시대를 둘러싼 시대의 모순을 강조하면서 대비되는 문장은 계속된다. “그때는 지혜의 시대이자 어리석음의 시대였다. 믿음의 세기이자 의심의 세기였으며, 빛의 계절이자 어둠의 계절이었다. 희망의 봄이면서 곧 절망의 겨울이었다. 우리 앞에는 무엇이든 있었지만, 한편으로 아무것도 없었다. 우리는 모두 천국 쪽으로 가고자 했지만 우리는 다른 방향으로 걸어갔다…” 혁명이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시대를 이렇게 인상 깊이 쓸 수 있는 작가를 존경하면서 그의 첫 문장이 우리가 처한 현실을 말하고 있지 않은가 하며 그의 소설들을 섭렵했다. 


<허만 멜빌>의 소설 ‘모비 딕 Moby-Dic’은 내가 시에틀에 있는 워싱턴 대학에서 북극고래 (bowhead whale)의 인구조사라는 연구 과제를 받아 일할 때 읽은 책이다. 학부 학생 때 숙제로 읽기 시작한 적이 있었는데 너무 지루하고 길어서 중간에 그만두고 말았던 책인데 헌책방에서 50센트를 주고 사서 줄을 치면서 다시 읽기 시작했다. 이 소설은 “Call me Ishmael"이란 짧고 간단한 문장으로 시작한다. ‘내 이름은 이슈마엘이다’ 아니면 ‘날 이 슈마엘 이라고 불러 다오’라고 번역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 소설은 짧지도 않고 간단하지도 않아서 힘들게 읽었던 것 같다. 고래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이라 많은 용어를 익히느라 참고 읽은 것 같다. 학교 조교실을 같이 쓰던 미국 친구와 “왜 이름을 이슈마엘로 정했을까? 톰이나 존 같은 좋은 이름도 있었을 텐데….”라며 웃었던 적이 있다. 유명한 커피집 ‘스타벅스’의 이름도 <모비 딕>에서 나온다. 그 소설을 너무 좋아했던 그 회사 사장이 소설 속의 인물 ‘스타벅’이란 이름을 따서 붙였다고 하니 그 사람도 나같이 첫 문장 “Call me Ishmael”에 반했던 것 아닐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칼럼 목록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5-03 
    -저는 이 십년만에 아틀란타 옷수선 가게를 접고 수원에 정착했어요, 무엇보다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고, 말 때문에 긴장 안 해도 되니 살 것 같네요.-부럽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역이민은 이왕 하려면 빨리 하는 게 나은 것 같아요, 70 넘…
    문학 2025-05-01 
    가게에 물건이 들어와서 며칠간 바빴다. 오랜만에 들여온 거라 양도 많았고 바뀐 계절에 맞춰 디스플레이도 손봐야 해서 할 일이 많았다. 페덱스 아저씨가 커다란 종이 박스 여러 개를 작은 가게에 쌓아놓고 갔다. 목장갑을 끼면서 박스를 쓱 훑어보았다. 십 년 전부터 거래해…
    문학 2025-04-18 
    이불을 머리끝까지 끌어올리고 중얼거린다.“일어나기 싫다. 그냥 이대로… 잠들었으면.”늙어가는 이 나이에 학교 가기 싫어 꾀를 부리는 아이처럼 아직도 월요일 아침마다 이러고 있으니, 나도 참 이상한 아줌마다. 평생을 올빼미처럼 밤에 더 깨어 있는 사람으로 살아왔으니 당연…
    문학 2025-04-11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3-28 
    삼월은 메두사의 두 얼굴을 하고 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다, 신들의 질투를 받아 무서운 괴물이 되고 만 메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온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온 만물을 소생케 하고, 생명의 푸른 빛으로 온 세상을 일 깨우지만, 한편으론 예상치 못한 March Madne…
    문학 2025-03-21 
    오전 다섯 시쯤 번쩍이는 섬광과 빗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유리창을 요란하게 때리는 빗줄기 때문에 커튼을 젖히고 밖을 살피기도 무서웠다. 커튼을 살짝 들고 빼꼼히 내다본 풍경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작달비가 쏟아지고 있었고 하늘은 천둥번개로 번쩍였다. 시멘트 바닥에 고…
    문학 2025-03-14 
    큰아이가 가족을 데리고 한국 처가에 다녀오는 동안, 기르던 애완견을 우리 집에 맡기고 갔다. 처음 제안이 나왔을 때 나는 선뜻 허락하지 못했다. 개를 키워본 적도 없고, 개와 가까이할 자신도 없었다. 그런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큰애는 메이플을 맡아달라고 간절하게…
    문학 2025-03-07 
    미주경희사이버대학교동문회 임원방에서 우리도 유명 강사님들을 초청하여 줌강연회를 열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나왔다. 동문은 물론이고, 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도 들을 수 있도록 오픈 강의로 하자고 의견이 모아졌다. 줌강연은 이미 여러 단체에서 하고 있지만, 동문의 화합과 결…
    문학 2025-02-28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2-21 
    언젠가부터 나는 이 곳의 삶이 너무 쓸쓸하거나 백지영의 노래 ‘총맞은 것처럼’에 나오는 가사처럼 가슴이 뻥 뚫려 그 무엇으로도 채울 수가 없을 때면 김치를 담는다. 아무리 둘러봐도 이웃들은 모두 미국인들이고, 보고싶은 아들들이나 친구들은 다들 너무 멀리에 있고, 그럴 …
    문학 2025-02-14 
    아버지 1주기가 다가온다.겨울도 봄도 아닌 2월, 때아닌 따스한 햇살이 우리 가족의 등을 토닥여주던 날, 가족묘 큰아버지 곁에 아버지를 모셔다드리고 돌아왔다. 아버지는 뇌경색으로 삼 년간 거동이 불편했지만, 주간보호센터에도 다니며 그럭저럭 지내셨는데 목욕탕에서 넘어져…
    문학 2025-02-07 
    “이 사진이 좋아? 아니면 이게 나아?” 남편은 컴퓨터 화면을 넘기며 하나하나 사진을 클릭해 보여줍니다. 맘에 드는 걸 고르라며 자꾸 보채는 모습이 참 정겹습니다. 오래전부터 파더스 데이를 가족사진을 찍는 날로 정해두었던 남편이지만, 언제부턴가 그 약속이 흐지부지되었습…
    문학 2025-01-31 
    9년 전, 다운타운에 있는 책방 ‘Deep Vellum’에서 “Blind Date with a Book”이라는 팻말이 붙은 진열대를 처음 보았다. 그곳에 진열된 책들은 누런 소포지로 포장한데다 노끈으로 묶어 놓은 지라 무슨 책이 들었는지 확인할 방도가 없었다. 해시태…
    문학 2025-01-24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lt;순대와 생…
    문학 2025-01-17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