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칼럼

[박혜자의 세상 엿보기] 역이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문학 댓글 0건 조회 584회 작성일 25-05-01 05:56

본문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저는 이 십년만에 아틀란타 옷수선 가게를 접고 수원에 정착했어요, 무엇보다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고, 말 때문에 긴장 안 해도 되니 살 것 같네요.


-부럽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역이민은 이왕 하려면 빨리 하는 게 나은 것 같아요, 70 넘어서 오면 여기서도 요양원 신세에요


-서울은 전세라도 너무 비싸던데, 경기도 쪽은 어떤 가요, 한달에 얼마면 살 수 있나요?


이 역이민 카톡방은 오픈 한지 한 달도 안 돼 회원수가 5000명이 넘었다. 이 유튜버는 1.5세 이민자인데 최근의 한국 실정을 중계 한다면서 직접 한국에 가서 몇 달을 살다 오기도 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미국의 사회보장 시스템이나, 물가, 주거환경, 의료혜택등을 비교하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일일이 파 헤쳐서 역이민을 꿈꾸는 이민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요즘은 은퇴를 앞두었거나, 이미 은퇴를 한 시니어들은 물론 트럼프의 반 이민 정책으로 자의반 타의반 역이민을 고려하는 한인들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실질적인 동기는 각자의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시니어들 경우는 은퇴를 하면, 일단 한국으로 나가 거소증을 만들고 이중국적을 취득하려는 분들이 많다. 아프고 병들면 한국 의료시스템이 미국보다 낫기도 하거니와 무엇보다 평생을 살았어도 언어에서 자유롭지가 않고, 게다가 운전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 되면 꼼짝 없이 요양원이나 집에 갇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로움은 덤이고,  아무리 오래 살아도 이방인이라는 의식은 항시 존재한다. 지금은 돌아가신 친정어머니도 미국에서 삼십 년을 사시다, 한국으로 다시 가셨는데,  마음이 편해 지셔서 그런지, 가자마자  고혈압 같은 지병이 사라져서, 모두들 놀랐다. 난 그런 어머니를 보며, 이민자들 DNA 속엔 늘 긴장이  도사리고 있는게 아닐 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튼 이유야 어찌 되었건, 우리들 마음 한구석엔 연어처럼 자신이 떠나왔던 곳으로 펄떡 회귀하려는 귀소본능이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역이민 성공사례가 있는 만큼 실패사례도 많은 것 같다. 연고지가 없는 곳으로 가서 텃세에 질려 돌아오거나, 비싼 시니어 공동체에 입주했다가, 한국 상류층 노인들  자식 자랑, 과거자랑에 질려 적응하지 못하고 퇴소 하거나, 막상 살러 가니 방문할 때와는 또 다른 친지, 친구들 태도, 늘 주변을 의식하고 살아야 되는 불편한 점등이 그렇다고 한다. 그리고 슬로우 라이프와는 거리가 먼 한국적인 상황도 한 몫을 한다.  우린 2년에 한 번 꼴로 한국을 나가는데, 갈 때마다 모든 게 너무 빨리 변해 있어, 놀랄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모든 것이 디지탈화 되어 있는데다, 이젠 인공지능 까지 가세해서 느림보 미국생활에 젖어있던 우리로선  여간 적응이 쉽지 않은 것이다.


역이민을 영어로는 리턴 마이그레이션( Return migration) 이라고 한다. 다시 이민을 간다는 뜻이다. 아무리 내 조국이지만, 다시 이민을 가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이민 와서 내린 삶의 뿌리를 하루아침에 포기하고, 돌아가는 건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니다. 하지만, 각자 지니고 있는 가치관나  행복한 삶의 기준에 따라 못 할 것도 없다. ‘지브롤터 항해일지’를 쓴 작가 프란시스 알리스의 말마따나 어차피 인류의 역사는 이민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칼럼 목록
    대학 졸업을 앞둔 아들과 여행을 떠났다. 타지 생활 동안 제대로 된 여행 한번 못했던 아들이 이 길 끝에서 어떤 위안을 얻길 바랐다. 졸업식에 맞춰 다른 가족들이 도착하기 전, 며칠을 내어 스모키 마운틴으로 향했다. 굽이진 산길을 따라 올라가자, 모퉁이를 돌 때마다 …
    문학 2025-06-27 
    감격이란, 오직 자기 자신과 대상과의 관계에 깊이 몰입할 때 찾아오는 강렬한 감정이라고 합니다. 가깝지만 쉽게 닿을 수 없는 것, 눈에 보이지만 손에 넣기 어려운 순간. 특히 스포츠에는 신기록과 우승이라는 뚜렷한 목표가 있어, 감격의 순간이 끊임없이 이어집니다. 제23…
    문학 2025-06-21 
    지난 5일, 이지원 선생님이 “미주복음방송, 통일의 소리”라는 코너에 남편과 함께 출연해서 우리 책을 소개했다며 단체카톡방에 링크를 올렸다. 궁금해서 ‘바로 듣기’를 클릭했다. 군더더기 없는 화법으로 얼마나 야무지게 말을 잘하시던지, 엄마 미소를 지으며 경청하였다. 2…
    문학 2025-06-13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6-07 
    뇌우를 동반한 소낙비가 아침 내내 격렬하게 내렸다. 최근에 다시 읽기 시작한 장자의 철학 우화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마라>와 페퍼민트 차를 가지고 패티오로 나갔다. 작정한 듯 사선을 그으며 내리는 비에, 마음을 빼앗겨, 책은 눈에 들…
    문학 2025-05-31 
    가게에 소녀 손님 둘이 들어왔다. 남미계 십 대 청소년으로 보였다. 물건을 고르고 계산대에 와서는 상기된 표정으로 내게 물었다. 어느 나라에서 왔느냐고. 한국이라 하니 저희끼리 마주 보며 ‘역시!’ 하는 눈길을 주고받았다. 어느 도시냐고 묻길래 서울이라 하니 두 손으…
    문학 2025-05-24 
    우리가 사는 달라스는 참으로 행복한 도시입니다. 최근에 눈부시도록 발전하는 경제와 더불어 세계적인 아티스트를 만날 수 있는 수많은 연주회와 전시회, 그리고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콩쿠르, 엘리자베스 피아노 콩쿠르, 쇼팽 피아노 콩쿠르 등과 더불어 세계 5대 피아노 콩쿠르…
    문학 2025-05-17 
    오월이 되면 눈이 자주 붓는다. 별다른 일이 있는 것도 아닌데 눈물이 잦아진다. 안 좋은 일 때문은 아니다. 생일이 가까워지면서 그리운 얼굴들이 불쑥불쑥 떠오르기 때문이다. 특히 엄마 생각이 많이 난다. 별 시답지 않은 이야기에, 드라마 속 한 줄 대사에, 문득 눈시울…
    문학 2025-05-17 
    딸이 내게 ‘Pride & Prejudice’라는 영화를 아느냐고 물었다. 제인 오스틴(Jane Austen) 소설을 영화로 제작한 건데, 방영 20주년을 맞아 4월 20일에 재개봉 한다며 핸드폰을 열어 포스터를 보여주었다. ‘오만과 편견’이었다.…
    문학 2025-05-10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5-03 
    -저는 이 십년만에 아틀란타 옷수선 가게를 접고 수원에 정착했어요, 무엇보다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고, 말 때문에 긴장 안 해도 되니 살 것 같네요.-부럽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역이민은 이왕 하려면 빨리 하는 게 나은 것 같아요, 70 넘…
    문학 2025-05-01 
    가게에 물건이 들어와서 며칠간 바빴다. 오랜만에 들여온 거라 양도 많았고 바뀐 계절에 맞춰 디스플레이도 손봐야 해서 할 일이 많았다. 페덱스 아저씨가 커다란 종이 박스 여러 개를 작은 가게에 쌓아놓고 갔다. 목장갑을 끼면서 박스를 쓱 훑어보았다. 십 년 전부터 거래해…
    문학 2025-04-18 
    이불을 머리끝까지 끌어올리고 중얼거린다.“일어나기 싫다. 그냥 이대로… 잠들었으면.”늙어가는 이 나이에 학교 가기 싫어 꾀를 부리는 아이처럼 아직도 월요일 아침마다 이러고 있으니, 나도 참 이상한 아줌마다. 평생을 올빼미처럼 밤에 더 깨어 있는 사람으로 살아왔으니 당연…
    문학 2025-04-11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3-28 
    삼월은 메두사의 두 얼굴을 하고 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다, 신들의 질투를 받아 무서운 괴물이 되고 만 메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온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온 만물을 소생케 하고, 생명의 푸른 빛으로 온 세상을 일 깨우지만, 한편으론 예상치 못한 March Madne…
    문학 2025-03-21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