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TN 칼럼

[박혜자의 세상 엿보기] 역이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문학 댓글 0건 조회 130회 작성일 25-05-01 05:56

본문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저는 이 십년만에 아틀란타 옷수선 가게를 접고 수원에 정착했어요, 무엇보다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고, 말 때문에 긴장 안 해도 되니 살 것 같네요.


-부럽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역이민은 이왕 하려면 빨리 하는 게 나은 것 같아요, 70 넘어서 오면 여기서도 요양원 신세에요


-서울은 전세라도 너무 비싸던데, 경기도 쪽은 어떤 가요, 한달에 얼마면 살 수 있나요?


이 역이민 카톡방은 오픈 한지 한 달도 안 돼 회원수가 5000명이 넘었다. 이 유튜버는 1.5세 이민자인데 최근의 한국 실정을 중계 한다면서 직접 한국에 가서 몇 달을 살다 오기도 했다. 그러면서 한국과 미국의 사회보장 시스템이나, 물가, 주거환경, 의료혜택등을 비교하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일일이 파 헤쳐서 역이민을 꿈꾸는 이민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요즘은 은퇴를 앞두었거나, 이미 은퇴를 한 시니어들은 물론 트럼프의 반 이민 정책으로 자의반 타의반 역이민을 고려하는 한인들이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실질적인 동기는 각자의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시니어들 경우는 은퇴를 하면, 일단 한국으로 나가 거소증을 만들고 이중국적을 취득하려는 분들이 많다. 아프고 병들면 한국 의료시스템이 미국보다 낫기도 하거니와 무엇보다 평생을 살았어도 언어에서 자유롭지가 않고, 게다가 운전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 되면 꼼짝 없이 요양원이나 집에 갇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로움은 덤이고,  아무리 오래 살아도 이방인이라는 의식은 항시 존재한다. 지금은 돌아가신 친정어머니도 미국에서 삼십 년을 사시다, 한국으로 다시 가셨는데,  마음이 편해 지셔서 그런지, 가자마자  고혈압 같은 지병이 사라져서, 모두들 놀랐다. 난 그런 어머니를 보며, 이민자들 DNA 속엔 늘 긴장이  도사리고 있는게 아닐 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무튼 이유야 어찌 되었건, 우리들 마음 한구석엔 연어처럼 자신이 떠나왔던 곳으로 펄떡 회귀하려는 귀소본능이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역이민 성공사례가 있는 만큼 실패사례도 많은 것 같다. 연고지가 없는 곳으로 가서 텃세에 질려 돌아오거나, 비싼 시니어 공동체에 입주했다가, 한국 상류층 노인들  자식 자랑, 과거자랑에 질려 적응하지 못하고 퇴소 하거나, 막상 살러 가니 방문할 때와는 또 다른 친지, 친구들 태도, 늘 주변을 의식하고 살아야 되는 불편한 점등이 그렇다고 한다. 그리고 슬로우 라이프와는 거리가 먼 한국적인 상황도 한 몫을 한다.  우린 2년에 한 번 꼴로 한국을 나가는데, 갈 때마다 모든 게 너무 빨리 변해 있어, 놀랄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모든 것이 디지탈화 되어 있는데다, 이젠 인공지능 까지 가세해서 느림보 미국생활에 젖어있던 우리로선  여간 적응이 쉽지 않은 것이다.


역이민을 영어로는 리턴 마이그레이션( Return migration) 이라고 한다. 다시 이민을 간다는 뜻이다. 아무리 내 조국이지만, 다시 이민을 가는 것과 같다는 말이다. 이민 와서 내린 삶의 뿌리를 하루아침에 포기하고, 돌아가는 건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니다. 하지만, 각자 지니고 있는 가치관나  행복한 삶의 기준에 따라 못 할 것도 없다. ‘지브롤터 항해일지’를 쓴 작가 프란시스 알리스의 말마따나 어차피 인류의 역사는 이민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RSS
KTN 칼럼 목록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5-03 
    -저는 이 십년만에 아틀란타 옷수선 가게를 접고 수원에 정착했어요, 무엇보다 먹고 싶은 것 마음대로 먹고, 말 때문에 긴장 안 해도 되니 살 것 같네요.-부럽네요, 저는 아이들이 어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역이민은 이왕 하려면 빨리 하는 게 나은 것 같아요, 70 넘…
    문학 2025-05-01 
    가게에 물건이 들어와서 며칠간 바빴다. 오랜만에 들여온 거라 양도 많았고 바뀐 계절에 맞춰 디스플레이도 손봐야 해서 할 일이 많았다. 페덱스 아저씨가 커다란 종이 박스 여러 개를 작은 가게에 쌓아놓고 갔다. 목장갑을 끼면서 박스를 쓱 훑어보았다. 십 년 전부터 거래해…
    문학 2025-04-18 
    이불을 머리끝까지 끌어올리고 중얼거린다.“일어나기 싫다. 그냥 이대로… 잠들었으면.”늙어가는 이 나이에 학교 가기 싫어 꾀를 부리는 아이처럼 아직도 월요일 아침마다 이러고 있으니, 나도 참 이상한 아줌마다. 평생을 올빼미처럼 밤에 더 깨어 있는 사람으로 살아왔으니 당연…
    문학 2025-04-11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3-28 
    삼월은 메두사의 두 얼굴을 하고 있다. 찬란하게 아름다웠다, 신들의 질투를 받아 무서운 괴물이 되고 만 메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온다. 겨우내 잠들어 있던 온 만물을 소생케 하고, 생명의 푸른 빛으로 온 세상을 일 깨우지만, 한편으론 예상치 못한 March Madne…
    문학 2025-03-21 
    오전 다섯 시쯤 번쩍이는 섬광과 빗소리에, 잠에서 깨어났다. 유리창을 요란하게 때리는 빗줄기 때문에 커튼을 젖히고 밖을 살피기도 무서웠다. 커튼을 살짝 들고 빼꼼히 내다본 풍경은 생각보다 심각했다. 작달비가 쏟아지고 있었고 하늘은 천둥번개로 번쩍였다. 시멘트 바닥에 고…
    문학 2025-03-14 
    큰아이가 가족을 데리고 한국 처가에 다녀오는 동안, 기르던 애완견을 우리 집에 맡기고 갔다. 처음 제안이 나왔을 때 나는 선뜻 허락하지 못했다. 개를 키워본 적도 없고, 개와 가까이할 자신도 없었다. 그런 내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큰애는 메이플을 맡아달라고 간절하게…
    문학 2025-03-07 
    미주경희사이버대학교동문회 임원방에서 우리도 유명 강사님들을 초청하여 줌강연회를 열면 어떻겠냐는 의견이 나왔다. 동문은 물론이고, 문학에 관심 있는 분들도 들을 수 있도록 오픈 강의로 하자고 의견이 모아졌다. 줌강연은 이미 여러 단체에서 하고 있지만, 동문의 화합과 결…
    문학 2025-02-28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2-21 
    언젠가부터 나는 이 곳의 삶이 너무 쓸쓸하거나 백지영의 노래 ‘총맞은 것처럼’에 나오는 가사처럼 가슴이 뻥 뚫려 그 무엇으로도 채울 수가 없을 때면 김치를 담는다. 아무리 둘러봐도 이웃들은 모두 미국인들이고, 보고싶은 아들들이나 친구들은 다들 너무 멀리에 있고, 그럴 …
    문학 2025-02-14 
    아버지 1주기가 다가온다.겨울도 봄도 아닌 2월, 때아닌 따스한 햇살이 우리 가족의 등을 토닥여주던 날, 가족묘 큰아버지 곁에 아버지를 모셔다드리고 돌아왔다. 아버지는 뇌경색으로 삼 년간 거동이 불편했지만, 주간보호센터에도 다니며 그럭저럭 지내셨는데 목욕탕에서 넘어져…
    문학 2025-02-07 
    “이 사진이 좋아? 아니면 이게 나아?” 남편은 컴퓨터 화면을 넘기며 하나하나 사진을 클릭해 보여줍니다. 맘에 드는 걸 고르라며 자꾸 보채는 모습이 참 정겹습니다. 오래전부터 파더스 데이를 가족사진을 찍는 날로 정해두었던 남편이지만, 언제부턴가 그 약속이 흐지부지되었습…
    문학 2025-01-31 
    9년 전, 다운타운에 있는 책방 ‘Deep Vellum’에서 “Blind Date with a Book”이라는 팻말이 붙은 진열대를 처음 보았다. 그곳에 진열된 책들은 누런 소포지로 포장한데다 노끈으로 묶어 놓은 지라 무슨 책이 들었는지 확인할 방도가 없었다. 해시태…
    문학 2025-01-24 
    ◈ 제주 출신◈ 연세대, 워싱턴대 통계학 박사◈ 버지니아 의과대학 교수, 텍사스 대학 , (샌안토니오) 교수, 현 텍사스 대학 명예교수◈ 미주 문학, 창조 문학, 미주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 무원 문학상, 미주 가톨릭문학상◈ 에세이집 <순대와 생…
    문학 2025-01-17 

검색